장성군 로고

국가상징 국무회의 알아보기

제1장 농업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5차 메뉴 정의
  • 1. 자급비료생산과 금비 소비량의 변화
  • 2. 농약 공급 및 친환경 농업
  • 3. 농기계 보유대수의 변화
  • 4. 농지 개발사업
  • 5. 양곡수매사업과 그 밖의 양정
  • 6. 농특사업의 추진실적
  • 7. 영농자금 융자 및 농어촌 저축

1. 자급비료생산과 금비 소비량의 변화

원본파일 다운로드

퇴비는 유기질비료로 토지생산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영양원이며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을 돕는데 효과가 크다. 따라서 금비가 생산되기 이전의 경작농업에 있어서 절대적으로 생산력 제고에 필수적이었다. 그래서 산야초를 베어다가 썩혀 논밭에 넣었다. 1912년경의 판매비료는 대두박, 어유박, 골분 등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유기질 비료였다. 1910년에 화학비료로 유안이 나오고 1936년에는 전국에 10개소의 비료배급소를 두어 공급하였다.

매년 금비소비량은 증가한 반면 퇴비의 생산량은 줄어들었다. 1970년대에는 더욱 그 현상이 [표 4-20]에서 보듯 현저히 줄고 1979년에 이르면 60%대로 급감하였다.
2000년대에 이르면서 자급비료인 퇴비생산량이 더욱 줄고 있음은 농가 노동력의 감소에 기인하며 또한 금비 구입이 자유롭기 때문이다. 농업기술센터의 토양검정 결과에 따른 시비량 추천을 농가에서는 경시하고 과다시비 경향이 있음도 간과할 수 없다. 드디어 지도기관은 30% 질소비료 덜 쓰기 지도를 하고 있다.
과다시비는 병해충 발생을 조장하고 나아가서는 토양과 수질악화를 가져옴으로 환경친화농업측면에서도 퇴비 많이 쓰고 금비 시비량을 줄여가야 하겠다.

[표 4-20] 퇴비생산량과 금비소비량 추이

퇴비생산량과 금비소비량 추이 - 년도, 퇴비생산량(생산량, 지수), 금비소비량(소비량, 지수)을 나타낸 표
년도퇴 비 생 산 량금 비 소 비 량
생산량(M/T)지수(%)소비량(M/T)지수(%)
1970290,0591004,628100
1971318,354109.84,822104.2
1972478,945165.14,981107.6
1973221,88676.55,951128.6
1974280,6691436,617143
1975299,203103.26,160133.1
1976224,00077.25,418117.1
1977192,49966.45,834126.3
1978184,74963.75,891127.3
1979179,34361.85,69989.7

자료 : 장성군사 (1982)

이 무렵 농촌진흥청이 통일계 품종의 문제점으로 제시한 것을 보면 쌀 맛 즉 찰기의 부족, 가을 추위에 약한 성질(耐冷性부족), 도열병과 기타 충해에 약한 성질(耐病蟲性부족), 수확할 때나 황숙기말 입모 상태에서 벼 알이 강풍에 떨어지는 성질(脫粒性 약함) 등이라고 밝혔고, 농민도 재배의욕을 조금씩 잃어갔다. 1980년에는 가을추위가 빨리와서 통일벼에 냉해가 엄습하여 단당수량이 449kg로 떨어졌고 일반벼도 339kg로 많은 감수를 초래했다. 그 결과가 다음해인 1981년에는 보급면적도 61%로 급감하였다가 1982년에는 81%로 늘고 풍년이 들었으나 1983년부터는 재배면적이 10%씩 감소되다가 1986∼1988년사이에는 재배면적은 40%대로 급감하고 1989년에는 36%로, 1990년에는 30%로 그리고 1991년에는 논면적의 겨우 9%만이 재배되고 장성에서는 기적의 볍씨라고 일컬어 온 통일형 벼는 장성에서 만 21년치(年齒)를 다하고 자취를 감추었다.

그런데 근래에는 쌀품질의 고급화와 상품으로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하여 쌀 브랜드화 사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디딜방아(120톤), 참으로 깨끗한 쌀(32톤), 한마음 유기농쌀(82톤), 자운영 쌀(268톤), 꿈의 쌀(470톤) 등의 브랜드 쌀 생산으로 농민 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2) 맥류 생산량 변화

장성의 맥류 생산량을 1931년에 발행된 전라남도사정지에서 살펴보면 1928년도의 재배면적은 7,215.9정보에 생산량은 96,673석으로 밭재배와 답이작으로 논 보리재배가 상당면적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농가에서 보리생산은 논에서 쌀 생산을 하는 것 못지 않게 중요한 곡물이었다. 예로부터 노농들은 보리가 농가에서 남아나면 그 만큼 쌀이 남는다고 하였다. 그 말은 곧 보리는 쌀과 같이 식량이 되어 줌을 의미한다. 그래서 논보리를 재배하는데 전력을 쏟았고 소작료를 걷어가지 않았기에 더욱 힘썼다. 일제하의 어려웠던 식량사정을 해결하는 데에도 맥류생산은 큰 몫을 하였다.
광복전후하여 장성에서의 맥류재배는 열을 올렸다. 일제말엽의 소위 대동아전쟁때에는 초등학교 운동장을 일구어 보리를 재배하였음을 볼 수 있었다.

우리 나라의 맥류생산량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910년에 85만 7천여 정보를 재배하여 620만석을 생산하였고 단보당 수량은 0.72석이었다. 그 후 1930년대에 이르면 재배면적은 130만 정보를 넘고 광복직전인 1943년에는 재배면적이 147만 정보로 확대재배 되었다. 그런데 그 자료에서 단보당 수량은 면적이 증가되면서 증수경향을 보였으나 전쟁기간 중이었던 1942년과 1943년에는 단수가 감소되고 있다. 이는 일제가 전쟁수행을 위해 무리하게 배수 불량 답에까지 2모작 맥류재배를 강행하고 비료 부족에서 온 결과라고 풀이된다. 1943년의 전남도 단보당 수량은 13개도 가운데 밭재배 위주의 강원도를 제외하고는 가장 수량이 높았다.

장성군의 맥류재배상황을 살피는데 광복후 20년간의 자료를 얻을 수 없어 생산추이를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1965년 이후의 자료에서 맥류 재배상황을 살펴본바 [표 4­7]에서 보듯 1965년에는 9천 1백여ha를 재배하여 단수 123kg를 생산하였고 1970년에는 1만 3백여ha로 면적이 증가하고 단수도 256kg 로 배증을 보게된다. 이어 1975년에도 1만 1백여ha이며 단수는 6년전에 비해 50kg를 더 증수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70년대에 들어 화학비료의 자국생산량이 늘어나 적정시비와 농민의 새로운 증수기술의 습득 실천이 주효한 것이라고 풀이된다.

1976년 이후 급격히 재배면적이 줄고 있는데 이는 이 무렵 통일벼 다수확 성과가 보리재배를 소홀히 여기게 되었다고도 보아진다. 한편 공업화 과정에서 농촌인구의 이농현상은 보리재배 면적을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1985년에는 재배면적이 2천8백여ha로 급감하였고, 1990년에는 1천 8백ha로 1995년에는 5백여ha로 대폭 감소현상을 보였는데, 이런 결과는 앞에 밝힌 농촌노동력의 감소와 농자재 값의 상승, 그리고 보리가 농가 식량으로 역할을 잃었기 때문이다.

장성에서 보리 재배면적이 급감하였으나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1996년 이후 서서히 확대되어 가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보리재배가 농가소득원으로 무시할 수 없는 것임을 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농민을 계도한 결과라고 보아지며 1999년에는 1,001ha로 증가되었고 단수도 287kg로 증수되고 있다.
장성에서 맥류(쌀보리, 겉보리, 밀, 호밀)중 밀 재배는 1989년에 3ha 재배를 마지막으로 자취를 감추었는데, 수량의 감소로 소득이 낮아 기피하게 되고 값이 싼 외국산 밀가루 수입에 밀려버렸다고 보아진다. 겉보리는 쌀보리가 나오기 전에는 주 재배 품종이었으나 쌀보리 출현 후는 엿기름용으로나 일제하에서는 군마(軍馬)의 사료로 재배시켰다. 장성에서 겉보리 재배모습을 보기 드물게된 것은 1972년 이후라고 보아진다.

(3) 두류 생산량 변화

두류(콩, 팥, 녹두, 돈부) 재배면적을 전라남도사정지(1931)에서 1928년의 실적을 보면 콩(大豆) 1,663.4정보에 6,934석을 생산하였고, 팥(小豆)은 276.3정보에 972석을 생산하였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1965년의 재배면적도 1928년의 면적과 비슷하였으나 1975년이후 매년 감소하여 1999년에는 925ha로 1965년의 50%에 머물렀다. 이와 같은 감소현상은 농산물 수입개방으로 저렴한 외국산 콩이 수입된데 기인한다. 광복전후만 하더라도 큰 마을마다 맷돌을 돌려 두부를 만들었던 소규모 공장이 있었으나 자취를 감추었다.

(4) 서류 생산량 변화

장성의 서류(고구마와 감자) 생산실적을 1928년의 기록에서 보면 고구마 120,894관(453.3M/T), 감자 37,750관(1,415.6M/T) 도합 1,868.9M/T을 생서로 생산하였다. 1965년도의 생산실적은 생서로 1,300여ha에서 14,000여M/T을 생산하였으나, 매년 재배면적이 감소하여 1975년에 이르면 800ha대로 감소하고 점차 줄어 [표 4-7]에서 보듯 1999년에 이르면 60ha로 격감한다. 이러한 현상은 국민의 식량이 그 만큼 여유가 있음을 보여준다. 일제하는 물론 광복후에도 식량이 부족하여 고구마와 감자는 구황작물(救荒作物)로써 쌀이나 보리밥을 지을 때 서류를 넣어 밥을 지어 먹기도 하고 대용식으로 삶아서 많이 먹었던 때는 1960년대 이전이다. 1960년대에는 고구마를 절간(切干)하여 주정원료로 매상하므로써 농가소득 향상에도 기여했다.

(5) 잡곡 생산량 변화
장성에서 잡곡(조, 수수, 옥수수, 기장, 피, 메밀) 재배가 1928년에는 조 95.8정보에 608석, 수수 70.8정보에 433석, 옥수수 23.4정보에 135석, 메밀 77.4정보에 479석을 생산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1965년경에는 잡곡류가 소면적이나마 재배되었으나 조 수수면적이 대폭 감소하고 1999년의 재배실적은 조 10ha, 수수 1ha, 옥수수 14ha, 메밀 12ha로 집계되고 있으나, 그것들은 산발적으로 밭두둑가나 공지의 극소면적에 재배되고 있는 것을 모은 것에 불과 하다고 보아진다. 이러한 잡곡류는 재래종이 많아 유전자원 식물로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인데 자취을 감추고 있음은 아쉬움이 남는다.

[표 4-7] 식량작물 생산량 (단위: 면적: 1000 ha, 단수: kg, 생산량: 1000M/T)

식량작물 생산량 - 1965,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1999, 2000을 나타낸 표
196519701975198019851990199519992000
합계면적22.323.521.8-1511.4109.27.6
단수---------
생산량55.8-68-554738.7--
미곡면적9.6999.39.6987.67.6
단수317289350425463456424497506
생산량30.426.831.539.544.541.1343838.5
맥류면적9.110.310.1-2.81.80.51-
단수123252256--239262296287
생산량11.226.430.6-8.84.61.62.1-
두류면적1.92.21.5-0.80.61.40.9-
단수4975112-108167163--
생산량0.91.72-0.11.12.3--
서류면적1.31.10.8-0.20.040.030.06-
단수-1,085-462-566534-2,212--
생산량14-3.7-1.60.20.7--
잡곡면적0.40.60.2---0.10.03-
단수736990---150--
생산량0.310.450.16---0.2--

자료: 장성통계연보. 1965, 1970, 1975, 1986, 1991, 1996, 2000

2. 농약 공급 및 친환경 농업

원본파일 다운로드

1950년까지는 벼농사에 농약을 전혀 쓰지 않고 벼를 재배하여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도열병이나 이화명충, 멸구류에 쓰는 농약이 없었고 종자소독제가 있었다. 도열병에 석회볼드액이 효과 있는 농약이라고는 하였으나 거의 쓰는 농가가 없었다. 장성에서는 과수와 채소원예 전업농가나 일인농장에서 석회볼드액이 사용되었을 뿐이다. 그러나 1951년경에 살충제인 BHC와 DDT가 수입 공급되어 1955년부터 조금씩 사용되었고, 1970년대 이후 화학비료의 생산량이 많아지고 구득사용이 용이하게 되므로서 과다 시용으로 작물체의 연약화는 병충으로부터 저항력이 약해지므로 농약을 더욱 필요로 하게되었다.

1960년 중반에 이르러 농약이 수입도 되고 국내생산도 되어 비료사용량과 비례하여 농약사용량도 증가하고 있음을 [표 4-21]은 보여주고 있다. 그런데 2000년대에 이르면서 농약은 더욱 다양화되어 시판되고 있어 사용량은 더욱 증가될 것이 예상되나 환경친화농업 차원에서 깊이 생각해 보아야하고 환경홀몬에 귀기울려야 하겠다.

과수용과 채소원예작물용 농약도 벼농사용 농약과 같이 같은 해에 보급되어 사용하였으므로 사용량도 상당량일 것이며, 과수와 채소에 쓰인 농약은 수확전 사용시기를 더 더욱 잘 지키지 않으면 잔유독성에서 오는 피해가 큼을 깊이 인식하고 생산농가는 농약 사용수칙을 준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표 4-21] 벼 농사용 농약 공급상황 (단위: M/T)

벼 농사용 농약 공급상황 - 합계, 살균제(계, 도열병, 문고병, 백엽고, 기타), 살충제(계, 명충, 멸구)를 나타낸 표
합계살 균 제살 충 제
도열병문고병백엽고기타명 충멸 구
197433.2715.157.363.050.544.1818.1213.374.74
197535.738.745.392.380.220.7326.7120.916.08
197641.5812.875.097.080.130.5628.7111.0517.66
197738.8611.723.296.351.460.627.1413.9813.15
197856.3322.2714.466.140.920.7434.0613.2520.8
197972.0338.431.094.441.990.8733.6319.8213.8
198058.3530.3124.383.731.30.8828.0418.159.88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 1981

[표 4-22] 연도별 친환경농업 투자 현황 (1995∼2001)

연도별 친환경농업 투자 현황 - 연도, 사업대상자, 환경농업(친환경자연농단지, 우렁이농법, 오리농업, 활성탄농법, MS균 농법, 친환경 농업교육장, 자운영파종, 발효퇴비공급), 사업비를 나타낸 표
연도사업대상자환 경 농 업사업비(천원)
친환경
자연농단지
우렁이
농법
오리
농업
활성탄
농법
MS균
농법
친환경
농업교육장
자운영
파종
발효퇴비
공급
199534하우스2,400평 250,000
199612하우스2,200평 250,000
1997130축사 2동10ha 67ha 337,500
1998915축사 4동 1ha67ha 71ha1,000톤386,602
19991,242 68ha 1개소317ha1,000톤438,000
20002,267하우스2,700평 70ha 1,000ha1,400톤604,000
20012,312축사 5동 6ha110ha22ha 1,004ha1,400톤637,500

3. 농기계 보유대수의 변화

원본파일 다운로드

조선농업발달사(1944)에 따르면 농기구로 호미, 낫, 쇠스랑, 괭이, 가레, 호리(쟁기의 일종), 써레, 갈퀴, 지게, 절구 등을 들어 구한말에 쓰고 있었던 것이라고 했다. 이러한 소농구들은 경종농업에서 주로 쓰는 소농구이므로 장성에서도 대부분 써왔고 이것들은 소농구이기에 앞으로도 쓰여질 것으로 본다.
1909년에 일본에서 도입된 농기구는 벼그네, 풍구, 왜낫, 제승기, 제연기 등이 들어오고, 1917년에 수차, 매(인습구), 만석체 등이, 1920년경에는 석유발동기, 양수기, 회전탈곡기, 정미기, 족답용 양수기, 개량쟁기, 대두박 분쇄기 등이 일본에서 들여 와 보급되었다. 이후 대농(大農)에서는 이러한 농기계들을 할부 구입하였고, 탈곡, 타맥, 양수 등을 자가는 물론 일반농가의 작업도 해주고 작업료를 받아 돈벌이도 하였다.
광복 후 동력농기계의 생산은 되지 못했고, 1960년대 초 대동공업이 일산 동력 경운기를 보급하기 시작하여 경운 쇄토(碎土) 운반 탈곡 양수와 같은 작업이 기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전기를 이루었다. 장성에는 처음으로 동력경운기가 1964년에 1대가 공급되었다고 통계연보에 기록되어 있다.

[벼농사용 주요농기계 보급상황-통계연보에서]
1964; 동력경운기 1대 1965; 동력분무기 19대
1975; 트랙터 1대 1981; 이앙기 54대, 콤바인 20대

1970년대 이후부터 농촌인구의 이농현상이 두드러짐에 따라 농촌인구의 감소와 더불어 부녀화, 노령화로 농촌일손 부족의 해소가 농정의 당면과제로 제기되어 '60년대의 재해(災害)대책 뿐만 아니라 노동력부족 해소를 위해 동력경운기를 중점적으로 공급하였다.

제4차 경제개발5개년계획이 시작되던 1976년부터는 농촌일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기종으로서 트랙터, 이앙기, 바인더, 콤바인 등 본격적인 농업 기계화사업을 정부가 추진한 결과 [표 4-23]에서 보듯 장성농촌에 급진적인 보급을 보게 되었다.
그러나 고가의 농기계가 활용기간이 짧을 때 자본 사장(死藏)이 되어 자칫 기계화 빈곤을 부를 위험도 상정해 볼일이다. 따라서 영세농들은 소자본을 모아 농기계를 공동 구입하여 상호 공동 이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보는 것도 바람직하다고 본다.

[표 4-23] 농기계 보급 상황 (단위: 대)

농기계 보급 상황 - 농기계별,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1999을 나타낸 표
농 기 계 별1970197519801985199019951999
경운정지기축력쟁기35773,852-----
동력경운기415361,2262,1493,1933,9694,673
트랙터-12089261610973
병충방제기인력분부기3,0044,5744,1033,534---
동력분무기3869921,9302,7623,1942,9632,832
건조기평 면 식-2433---
순 환 식--6682246496
수확기동력예취기---11 94 26 35
콤 바 인---103289446534
탈곡기인력탈곡기1,6056,105 1,848 1,374 280 --
동력탈곡기2576911,1391,8631,43633933
이앙기동력이앙기--*1981년에 54대1036131,2691,801
제승기족답식524786 366 446 ---
동력용-36320157
가마니기계수 직2,476 1,864 -----
족 답107206 352 129 ---
동 력-1513537---
곡물가공기계정미기288 188 114 114---
정맥기134 156 105 96---
제분기94 85 58 53---
젬면기1521-----
농업용원동기발동기-421 415 197 258 --
전동기-391528351,129--
농용양수발동기-421415197258--
전동기-391528351,129--
파종기동력파종기514571653164219
관리기관리기-----*1996년에1,246대1,755
과실선과선과기------*약700대 추정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 1981, 1986, 1991, 1996, 2000

4. 농지 개발사업

원본파일 다운로드

야산개발에 의한 농지확대는 1961년 이후 중요한 국토 개발사업이었다. 이보다 앞서 1957년부터 정부의 보조금 지원하에 소규모 개간이 1960년까지 농지개량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졌으나 소규모 개간에 불과했다. 1961년의 귀농정착사업의 일환으로 강도있게 이루어졌고 1962년에는 개간촉진법이 제정·공포됨으로써 본격적인 개간에 의한 농지가 조성되었다. 이 무렵부터 장성의 개간사업도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표 4-24]에서 보듯 1965년 이후 1968년까지 575.5ha를 개간하였으나, 1970년대에는 173.6ha를 개간하였다. 1970년 이전의 개간사업에는 PL.480(미국 공법; Public Law)에 의해 사업이 이루어졌다.

1970년 이후에는 보조와 지원부담으로 사업이 시행되었고 1980년 이후에는 개간사업은 정돈상태가 되었다. 농지확대를 위해 산야개간이 이루어졌으나 토사유실 등으로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경지 정리사업은 농지의 집단화로 경지의 생산력을 증대시키고 기계화를 포함한 생력 농업기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지기반사업의 하나다. 그런데 우리 나라에서는 경지정리사업을 최초로 실시한 것은 1930년 일인 토지회사가 전북에서 50정보를 한 것이 효시다. 그 후 1966년 식량증산 7개년 계획의 일환으로 실시, 장성에서도 1966년에 2.1ha를 군비와 지원부담으로 경지정리를 최초로 하였다. 그 후 [표 4-25]에서 보듯 1967년부터 경지정리사업은 활발히 진행 1999년까지는 경지정리 가능면적 7,789ha의 81.3%인 6,332ha를 실시하였다.

한편 월곡지구(남면, 진원) 농업생산 기반조성 시범사업이 전액 국비 3백억 6천 8백만원을 투입하여, 재 경지정리 406.6ha를 비롯 배수개선, 용수개발, 밭 기반정비 등 기반조성사업이 1999년부터 5개년 사업으로 시행중이다. 그런데 밭 기반정비(30.7ha)는 2001년 완료했다. 그리고 배수개선사업으로 황룡지구(황룡면, 수혜면적 201.3ha)와 개천지구(장성읍, 북일면, 수혜면적 109ha)에 국비 117억여원을 투입 1999년에 착공하였는 바, 황룡지구는 2001년에 완료했고 개천지구는 2002년부터 추진중이다. 지표수보강개발사업으로 북이면 조양과 원덕지구에 국비 102억여원을 투입 양지구(수혜면적 143여ha) 사업이 2002년 완료예정으로 실시설계가 완료되고 계획도 확정되어 진행중이다.

농업용수의 누수율을 최소화하고자 지방자치체에는 기존의 흙수로 구조물화에 착안하여 1997년부터 사업실시 2001년 완료예정 물량까지 합해 179지구에서 93.8km의 실적을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 사업에는 총사업비 91억 3천만원이 투입되었고 이 중 20%에 해당하는 18억 3천만원은 지방자치후 상사업비로 수령한 상금이 쓰여졌음은 보다 값진 것이라 하겠다.

농업용 기계가 대형화하고 운반수단이 우마차나 손수레에서 소형트럭으로 바뀌었음으로 농로의 확포장은 너무나도 시급한 과제였다. 장성에는 농용소형트럭이 2000년말 현재 2,731대가 농촌과 농로를 운행중이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는 1995년부터 2001년 상반기 공사 완료분까지 합쳐 98지구에 10억 4천 2백만원이 투입되었지만 앞으로도 이러한 사업은 중점적으로 계속되어야만 농업 기계의 효율을 제고함과 동시에 생산비를 크게 줄이게 된다고 본다.

[표 4-24] 개간사업 실적 (단위: ha, M/T, 천원)

개간사업 실적 - 개간가능면적, 지구수, 사업실적면적, 식량 증산효과, 공사비(계, 보조, 지원부담, 양곡)를 나타낸 표
개간 가능면적지구수사업 실적 면적식량 증산효과공 사 비
보조지원부담양곡
1965∼1968765.8577575.466210,628.80--10,355.40
1970∼19806,911.7082173.6505.2150,76357,61151,96441,188.00
-6597491,167.20161,391.8057,61151,96451,543.40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 1981

[표 4-25] 경지정리사업 시행 현황 (단위: ha) 자료: 건설과

경지정리사업 시행 현황 - 계(개소, 면적), 군시행(개소, 면적), 농업기반공사(개소, 면적)를 나타낸 표
군 시 행농 업 기 반 공 사
개소면적개소면적개소면적
1967∼196813213291,220
1970∼1975242,785151,5654296
1980∼1989151,1761188011875.3
1990∼1999352,339241,463.70242,391.30
756,332513,940.70

5. 양곡수매사업과 그 밖의 양정

원본파일 다운로드

[표 4-26]에서 양곡 수매실적을 보면 하곡(夏穀, 보리)은 주로 일반매입이며, 1975년에 11,880M/T을 수매하였는데 1999년에는 3,232M/T으로 급감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1985년 이후 맥류 재배면적이 감소한데 기인한다. 추곡(秋穀, 벼)에 있어서는 일반매입이 1975년에 8,920M/T이던 것이 1999년에는 13,944 M/T으로 증가하였으나, 1985년에는 22,964M/T까지 수매된 적이 있고 이후 매년 감소 경향임은 시중 추곡가가 정부수매가 보다 높아 시장 출하하기 때문이다.

[표 4-26] 양곡수매 상황 (단위: M/T)

양곡수매 상황 - 하곡(일반매입), 추곡(계, 일반매입, 양비교환, 농지세, 종자, 기타)을 나타낸 표
하 곡추 곡
일반매입일반매입양비교환농지세종 자기 타
197511,88010,6148,920900793--
198012,15413,06011,555-1,12057328
19856,73623,177.6022,964--205.48.2
19904,55221,56421,400--11054
19951,73516,54516,545----
19993,23213,94413,944----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 1986. 1990. 1995. 1999

[표 4-27]에는 농산물검사실적이 제시되어 있는데 1974년에는 정조 9,693M/T을 검사하였고, 1980년에는 정조 15,905M/T을 검사하였다. 1980년이전에는 압맥, 대맥, 잠견, 가마니 등을 검사했는데 그 후 품목들이 없어져 검사에서 제외되었다.

[표 4-27] 농산물 검사 현황 (단위: M/T. 1000원)

농산물 검사 현황 - 정조, 백미, 보리쌀, 압맥, 과맥, 대맥, 잠견, 가마니(생산액, 반출)를 나타낸 표
정 조백 미보리쌀압 맥과 맥대 맥잠견(kg)가 마 니
생산액반출(공포)
19749,6939,7877,1883889,65213348,40814,744225
197616,7564,4787,38152414,200- 441,845280,7119,357
197823,88720,4823,1651210,784343275,6821,55551
198015,90516,0826,132-10,169----

[수매양곡 포장재와 작석중량 변천]

수매양곡 포장재와 작석중량 변천 - 벼(연도, 사용포장재, 연도별 작석중량), 보리(연도, 사용포장재, 연도별 작석중량)를 나타낸 표
보 리
연도사용포장재연도별 작석중량연도사용포장재연도별 작석중량
'34∼'75가마니'34∼'75:90근
'76∼'86:54kg
'40∼'79가마니'40­'43: 피맥70근. 과맥90근
'44­'46: 피맥 70근. 과맥100근
'47­'62: 피맥42kg. 과맥60kg
'63­'79: 피맥50kg. 과맥60kg
'76∼'86가마니, P·P대54kg'80∼'86가마니, P·P대피맥 50kg, 과맥 60kg
'87∼P·P대40kg'87P·P대피맥 50, 40kg, 과맥 60, 40kg
'88P·P대피맥 40kg, 과맥 40kg

자료 :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전남지원담양출장소

[표 4-28]에는 양곡 창고면적과 보관능력을 제시하였다. 총 창고면적은 1975년 57동에 15,907평이었는데, 1999년에는 69동에 23,944평으로 '75년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1990년에는 37,970평(120동)까지 증가했던 적도 있다. 통운창고는 '70년대 이용되었고 농협창고가 개인창고보다 1999년 현재 5,808평이 더 많다.
창고의 시설이 좋지 않아 서침을 받아 양곡들이 오염되기도 하고 온습도와 환기 등을 자동조절할 수가 없어 저장양곡의 변질 등이 우려되는 바 이러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막아내는 개선대책이 시급히 수립되어야 할 과제라 하겠다.

[표 4-28] 양곡창고 현황 (단위: 평, M/T)

양곡창고 현황 - 합계(동수, 면적, 보관능력), 농협(동수, 면적, 보관능력), 통운(동수, 면적, 보관능력), 개인(동수, 면적, 보관능력)을 나타낸 표
합 계 농 협 통 운개 인
동수면적보관능력동수면적보관능력동수면적보관능력동수면적보관능력
19755715,90719,9353711,12414,884113285194,6515,166
198012711,60858,040566,00030,000- - - 715,67828,040
198512912,16753,891586,17018,563- - - 705,94725,191
199012037,97051,4195820,66127,771- - - 6217,60723,648
19958328,50551,0714817,19030,633- - - 3511,31520,438
19996923,94442,5714114,87626,480---289,06816,097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 1986. 1996. 2000

[표 4-29]는 장성의 도정공장 실적을 보여주는데 1974년에 102개의 도정공장이 있었으나 96개 공장이 임도정공장이고 3개 공장이 정부도정공장이었다. 정부도정량은 매년 증가 1999년에는 1개 공장에서 정부양곡을 2,158M/T이나 도정하였다.

[표 4-29] 도정(搗精)실적 (단위: M/T)

도정(搗精)실적 - 합계(개소, 도정량), 임도정(개소, 도정량), 농업기반공사(개소, 도정량)를 나타낸 표
합 계임 도 정농 업 기 반 공 사
개 소도 정 량개 소도 정 량개 소도 정 량
197410221,191315,391965,800
197610736,219313,30610422,973
197810163,076328,1209834,956
19809639,920337,270932,650
1999--12,158--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1981. 1986.1996. 2000, 농림과

6. 농특사업의 추진실적

원본파일 다운로드

농어민 소득증대사업은 1968년에 실시하여 1971년에 1단계 사업을 마무리 짓고 1972년 이후 계속하였는데 장성에서 농어민소득증대 특별사업추진은 잠실 신축에 주로 지원되었다. 그리고 배 과수원 조성과 밤나무 율원 조성에도 1975년에 지원되었다. 잠실에 대한 사업실적은 1975년에 52동, 1976년에 37동, 1977년에 47동, 1978년에 20동이었고 자금은 1977년에 1,400만원, 1978년에 700만원이 소요되었다.

7. 영농자금 융자 및 농어촌 저축

원본파일 다운로드

[표 4-30] 영농자금 융자 상황 (단위: 백만원)

영농자금 융자 상황 - 구분, 총계, 금융부문(소계, 농사자금, 농림자금, 일반자금, 기타자금), 재원부문(소계, 대충자금, 재정특별회계, 기타) 제공 표
구 분총 계금 융 부 문재 원 부 문
소 계농사자금농림자금일반자금기타자금소 계대충자금재정특별회 계기 타
19741,017.10658.6132.6330.2113.282.6358.518.3242.597.6
19751,154.10736.3150.8353.7139.891.8417.817294.3106.4
19762,049.201,225.80277.5513.1244.3190.6823.313.4489.7320.1
19773,274.301,682.40435.6479.9456.8309.91,591.8011.5955.9624.3
19785,495.702,225.70480.3703569.1473.23,269.9010.71,099.202,159.90

자료 : 장성통계연보 1979

[표 4-31] 농어촌 1조 저축 상황 (단위: 천원)

농어촌 1조 저축 상황 - 구분, 전년말, 합계(목표, 실적), 예금(목표, 실적), 출자(목표, 실적), 공제(목표, 실적)를 나타낸 표
구 분전년말 잔액합 계예 금출 자공 제
목 표실 적목 표실 적목 표실 적목 표실 적
1975841,793411,804639,966298,000543,84268,48054,10445,32445,386
19761,481,759572,269431,229404,307316,901106,34266,82561,62047,503
19771,918,595914,000960,465691,800671,332123,400106,61898,800182,515
19782,431,000892,0001,257,000678,000932,000104,000139,000110186,000
19792,745,9351,067,8101,247,165786,000986,000164,110138,365117,700122,800
19803,567,3614,775,8004,778,0484,387,0004,378,227174,800178,821214,000221,000

자료: 장성군사(1982). 장성통계연보 1981

QR CODE
  •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정보무늬는 『제1장 농업 120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제1장 농업 페이지 바로가기 주소(https://www.jangseong.go.kr/q/ezIyOTB8MTIwfHNob3d8fQ==&e=M&s=3), QRCODE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