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로고

국가상징 국무회의 알아보기

제2장 지역개발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5차 메뉴 정의
  • 1. 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정신
  • 2. 새마을운동의 기본적 특성
  • 3. 새마을운동의 전개 과정

1. 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과 정신

원본파일 다운로드

새마을운동의 기본이념은 공동의 선을 추구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가치를 실현하는 데 있다. 여기서 [공동선의 추구]란 모두가 공감하는 공동의 지고한 선과 목표를 추구하는 것이고, [삶의 질 향상]은 정신적 및 물질적인 생활의 질적 수준을 제고하는 것이며, 가치창조의 실현]이란 개인과 사회의 참다운 보람과 가치를 창조하고 저축하는 것이다. 새마을운동의 기본정신은 근면(개인과 집단의 성장을 가능케 하는 자기선용의 정신), 자조(자율과 자립의 기반을 다지는 자기확립의 정신), 협동(효율과 발전의 가속을 보장하는 자기확대의 정신)이다. 새마을 운동은 시대적 과제를 해결하고 사회의 종합적 발전을 도모하는 국민운동으로서 [새]는 과거 경험을 발전적으로 펴나가는 가치의식과 질서체계의 쇄신적 변화를 뜻하고 [마을]은 공간적 지역공동체와 사회적 생활공동체로서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2. 새마을운동의 기본적 특성

원본파일 다운로드

새마을운동은 실천운동이다. 새마을운동의 이념은 구체적 실천운동으로서 기능하고, 개화하고, 결실하여야 비로소 본래의 의미가 살아난다. 생활 속의 실천운동으로 움직여야 한다. 새마을운동에 협력하고 기대와 신뢰를 거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새마을운동은 지역적 특성화 운동이다. 개인마다 사람에게는 천차만별의 색깔이 있는 것과 같이 지역에도 각자의 색깔이 있다. 지역을 초월한 인구의 이동교류가 심화되고 사람의 의식이나 사고도 지역적으로 변화되어 가고 있으므로, 획일적으로 밀어 부쳐서는 안된다.
새마을운동은 지역적 구체화 운동이다. 새마을운동은 그 지역의 구체적 문제를 구체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추상적인 이념이나 지식이 아니라 구체적인 문제를 구체적으로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 이해관계는 추상적인 접근에 의하여 조정될 수 없으며, 구체적인 조정을 도모하지 않으면 안된다.

새마을운동은 협동적·자발적 운동이다. 한 사람의 탁월한 지혜보다 모든 사람의 지혜를 모으는 것이 좋고, 한 사람이 열심히 일하는 것보다 모두가 함께 일하는 것이 좋은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는 [리더]가 있어야 한다. 발전을 향한 자유의 정신을 갖고, 자발적인 의사와 판단을 갖고, 자발적으로 활동하는 것이 새마을운동의 생명이다.새마을운동은 주민적·민주적 운동이다.

3. 새마을운동의 전개 과정

원본파일 다운로드

(1) 전개과정의 단계별 구분

1970년 4월 22일 고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제창·출범되어 거의 한 세대의 기간에 걸쳐 중단없이 지속되어온 새마을운동은 그 동안 많은 변화와 굴곡을 경험하면서 발전되어 왔다.

성공과 영광만으로 충만된 것이 아니고 때로는 시행착오와 실수 또한 있었다. 그러나 처음 시작에서 오늘에 이르는 전체적 맥락에서 볼 때에는 성공과 효과가 컸고 영광과 긍지가 앞섰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새마을운동은 한 세대의 역사를 새마을운동 자체의 변천과 발전 기준에 따라서 구획하여 고찰해 볼 수 있다.
① 이념, 철학 및 목표
② 주체, 기능 및 역할
③ 조직, 기구 및 인력
④ 활동, 사업 및 재정
⑤ 전략, 방법 및 효과 등 다섯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기준의 요소들은 그 내용에 있어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어 왔으므로 그 변화의 정도와 내용에 따라 새마을운동의 전개 과정을 몇 개로 단계화 할 수 있다.

제1단계는 새마을운동이 시작되어 그 기반을 마련하던 1970∼1973년간의 기반조성단계고, 제2단계는 조직과 사업을 점차 확대하던 1974∼1976년간의 사업확산단계이며, 제3단계는 새마을운동의 효과를 깊이있게 뿌리내리던 1977∼1979년간의 효과심화단계이며, 제4단계는 체제와 활동 등을 민간주도로 재정비하였던 1980∼1989년간의 체제정비단계이고, 제5단계는 자립과 자율기반을 강화한 1989년 이후의 자율확대단계이다.

새마을운동의 단계화 : 요소변화기준

새마을운동의 단계화 - 단계, 특색, 기간 제공 표
단 계특 색기 간
제 1 단계기 반 조 성1970~1973
제 2 단계사 업 확 산1974∼1976
제 3 단계효 과 심 화1977∼1979
제 4 단계체 제 정 비1980∼1989
제 5 단계자 율 확 대1990∼현

(2) 단계별 전개상황1) 기반조성단계 : 1970∼1973

1970년 4월 22일 새마을운동의 제창과 더불어 전국적으로 마을가꾸기 사업이 시작되었다. 정부는 초기의 실험적 기간에 '10대 가꾸기 사업' 실시지침을 하달하고 관내 284개의 마을을 대상으로 마을마다 시멘트를 무상으로 지원하여 마을별로 필요한 사업을 추진하도록 함으로써 먼저 생활환경 개선을 통한 마을 가꾸기사업을 전개하였다. 마을별로 남녀 지도자를 각 1명씩 선출하여 이들을 중심으로 주민들과 함께 사업을 계획하고 추진토록 하였으며, 초기 4년동안에 가장 큰 역점을 둔 부문은 환경개선사업이고 다음은 소득증대사업이며 그 다음이 의식개혁사업이었다고 할 수 있다.

환경개선사업은 마을 및 주택의 생활시설을 보다 편의롭게 만들기 위한 사업으로서 마을안길확장, 공동빨래터 설치, 지붕·담장·부엌·변소개량 등에 그 역점을 두었다. 소득증대사업은 주로 농업소득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사업으로써 농로확장, 농지개량, 종자개량, 품앗이 장려 등에 주력하였다. 그리고 의식개혁사업은 군민의 불건전한 의식과 생활방식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퇴폐풍조 일소, 근건절약 생활 실천, 협동분위기 조성 등에 역점을 두어 추진하였다.

새마을운동의 보다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추진을 위하여 지역에 필요한 조직과 장치를 만련하여 새마을운동의 지원과 사업조성 및 장려의 기능을 수행토록 하였다. 그리고 새마을 지도자 교육을 통해서 새마을 지도자들의 자질과 능력을 배양토록 하였다.

그리하여 짧은 기간에 새마을운동의 열기는 요원의 불길처럼 타오르기 시작했다. 지역의 생활환경이 몰라보게 달라지고 가난이 물러가기 시작했으며 주민들의 사고와 행동이 변화되는 조짐을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초기 4년에 이루어진 새마을운동의 특색으로는 우선 출범과 더불어 그 기반을 조성했다는 사실을 들 수 있다. 또 하나의 특색은 주거생활의 환경개선에 사업우선을 두고 실시되었다는 사실이다.이와 같은 특색을 띠고 추진된 제1단계의 새마을운동은 기대 이상의 성공으로 큰 효과를 가져왔던 것이다.

2) 사업확산단계 : 1974∼1976

1974년부터 1976년까지의 3년간은 새마을운동이 국민운동으로 그 위치를 확립하는 단계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새마을운동 조직과 인력이 확장되고 증가하였으며 정부의 재정적 보조와 융자자지원도 늘어났던 것이다.

한편 새마을교육을 크게 강화하여 새마을지도자들의 자질과 능력을 함양하는 한편 공직자와 사회지도층 및 일반국민에까지 교육기회를 확대하여 새마을운동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하고 의식과 행동의 건전화를 도모하였다. 그리하여 사회질서와 기강을 바로 잡고 국민생활을 합리화 내지 근대화시키는데 새마을운동이 끼친 영향은 참으로 지대했던 것이다. 또한 새마을지도자대회를 비롯한 각종 행사를 통해 새마을 지도자를 격력하고 새마을운동을 확산시켰다.

더불어 가장 큰 역점을 둔 부문은 소득 증대사업이고 둘째가 주민 의식개혁이며, 셋째가 환경 개선사업이라고 할 수 있다. 논두렁 바로잡기, 소하천 정비, 복합영농 실시, 공동작업장 운영, 농외소득원 발굴 등을 통하여 농민들의 소득증대를 도모했다.

그리고 교육과 대중홍보를 통해 국민의 사고방식과 행동양식을 보다 건전한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경주했다. 또한 지붕개량, 주택개량, 간이상수도 설치, 마을회관 건립 등의 사업을 꾸준히 시행하여 생활환경을 개선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 초가집이 거의 없어지고 부엌과 변소가 현대식으로 바뀌었으며 위생여건도 크게 개선되었던 것이다.

새마을운동의 특색은 먼저 공간적, 기능적 확대를 들 수 있다. 1970년∼1973년의 제1단계에서의 경험을 살려 농촌뿐만 아니라 도시와 각종 직능단체에까지 확대하여 범국민적 운동으로 전개하였던 것이다. 특히 달라진 농촌의 모습에 감명을 받은 주민 모두의 관심이 높아져 소득과 의식을 결합한 운동을 강조한 점도 특색이라 할 수 있으며, 물질적 풍요와 정신적 건강을 함께 추구함으로써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효과를 거두고자 했던 것이다. 또 하나의 특색은 주민운동으로서의 좌표 확립이라고 볼 수 있다. 군민적(郡民的) 공감대를 형성하여 생활속에 뿌리내리기 시작했다.

3) 효과심화단계 : 1977∼1979

1977년부터 1979년까지의 3년간은 새마을운동의 효과를 한층 더 제고하고 그 뿌리를 더욱 튼튼하게 만들었던 시기였다.마을 단위로 소규모 사업만을 추진하는데는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고 지역과 사업의 규모를 확대하여 사업의 경제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지역특성을 고려한 새마을운동의 역점사업은 소득증대와 문화·복지시설 확충이었으며, 축산과 특용작물 재배를 장려하고 새마을공장 건설로(한지공장 등) 농외 소득을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취락구조를 개선(장성읍 야은마을, 남면 시목마을 등)하고 문화주택을 건립하여 생활환경을 향상시켰다.

4) 체제정비단계 : 1980∼1989

박정희대통령 서거로 말미암은 정치, 사회적 혼란을 거쳐 제5공화국과 제6공화국에 이르는 80년대에 있어서는 새마을운동이 가장 어려웠던 변혁과 침체의 역경을 경험했다 할 수 있다.1980년 12월 1일 사단법인 새마을운동 중앙본부가 창립되었으며 그해 12월 13일자로 법률 제 3269호를 공포시행된 [새마을운동조직육서법]은 주민의 자발적운동을 통해서 새마을운동 조직을 지원 육성하므로써 새마을운동의 지속적인 추진과 향상을 도모하고 지역발전에 기여을 목적으로 제정되었으며 민간주도 새마을운동으로 전환되었던 것이다.

1984년 3월 5일자로 새마을운동 장성군지회가 개정되었으며(초대, 지회장 : 김재형 사무국장, 손덕팔 外 직원 3명) 읍·면·동과 마을에는 남녀 새마을지도자 568명을 두었다.이러한 가운데서도 새마을운동은 지속되어 진입로 포장, 복합영농, 작목개선, 유통개선, 새마을금고사업, 국토공원화사업 등이 꾸준히 전개되었으며, 특히 88서울올림픽시에는 질서·친절·청결이란 3대 과제로 올림픽 새마을운동을 대대적으로 전개하여 성공적 개최에 크게 기여했다.

'80년대에 이루어진 제4단계의 새마을운동은 관주도에서 민간주도로 추진체제의 전환을 가져왔고, 이에 따라 관과 민간부문의 새마을운동에 대한 역할분담이 이루어졌으며, 다소간의 부작용과 침체현상에 직면했지만 이를 슬기롭게 극복하여 본래의 모습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경주했다는 사실을 대표적 특색으로 지적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새로운 각오와 자세로 '90년대로 들어서는 완연한 민간주도 새마을운동의 대전환을 맞이했던 것이다.

5) 자율확대단계 : 1990∼2001년 현재

새마을운동은 '90년대에 들어와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하였다. 개방화와 지방화의 물결에 부응하는 한편 조금씩 어려워지기 시작한 경제발전을 촉진하고 무질서와 비윤리적 풍조로 흐르는 지역사회의 기간을 바로 잡아야 할 시대적 과제에 직면하였던 것이다.

WTO체제로의 진입, 지방자치제의 출범, 1997년부터의 외환위기 도래와 IMF체제의 시작 등은 우리에게 많은 시련과 고통을 안겨 주었으며, 새마을운동은 총체적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활동을 능동적으로 전개하였던 것이다.

새마을조직 자체로는 자율과 자립의 기반을 다지고 그 능력을 제고하는데 힘썼고 일선현장을 중시하여 사업과 활동을 지역특성에 맞도록 선정·추진함으로써 보다 실질적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특히 고장과 이웃을 사랑하고 봉사하는 정신을 생활화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도덕성을 회복하기 위한 활동을 꾸준히 전개했다. 이 기간 동안 역점을 둔 사업은 내 고장 환경 가꾸기, 전통문화의 계승·발전, 경제 살리기, 도·농간 직거래 촉진, 일하는 기풍을 진작시키고 건전 생활운동, 도덕성 회복운동, 자원봉사활동 확대 등이었다.

아울러 공식적 교육·훈련과 각종 행사 및 모임을 통해 새마을지도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주민 의식개혁을 위한 교육을 폭넓게 실시하고 있다.'90년대에 전개된 우리군 새마을운동의 특색은 첫째로 자율과 자립의 기반을 강화하여 독자적인 활동능력을 구비하려는 노력을 경주하였고, 둘째로 개방화·지방화라는 내외적 변화에 부응하여 지역간의 경쟁력을 함양하는데 기어코자 했으며, 셋째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주민의식의 개혁과 사회풍토의 건전화에 전력을 기울였다는데 있었다.

(3) 전개과정의 집합

1970년에 시작되어 30여년간 꾸준히 지속되어 온 새마을운동은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각 단계는 시대적 환경과 새마을운동의 이념·정신·목표·사업·조직·활동 등에 특색을 갖고 있다.되돌아보면 위축과 실망도 있었고 한 때는 주민들로부터의 지탄과 외면도 당했지만 전 기간을 통털어 보면 새마을운동이 지역 발전과 근대화에 미친영향과 그 효과는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정도로 지대했다고 할 수 있다.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

새마을운동의 전개과정 - 단계, 역점사업, 운동의 특색, 1인당GNP 제공 표
단 계역 점 사 업운동의 특색1인당GNP(달러)
1. 기반조성단계(1970∼73)·환경개선 : 마을안길, 지붕, 담장·운동의 출범과 점화·1970 : 257
·1973 : 375
·소득증대 : 농로, 농지, 종자·정부주도의 활동
·의식개혁 : 근검절약, 퇴폐일소·생활환경개선 우선
2. 사업확산단계(1974∼76)소득증대 : 소하천, 농외소득·공간적, 기능적 확대·1974 : 402
·1976 : 765
·의식개혁 : 새마을교육, 홍보·소득증대, 의식개혁
·환경개선 : 주택, 상수도, 회관·국민적공감대 형성
3. 효과심화단계(1977∼79)·취락구조, 문화, 주택·광역적 연계화1977 : 966
·1979 : 1,39
·골목길포장, 청소, 질서·규모경제의 추구
·단위별 특성화 부각
4. 체제정비단계(1980∼89)·사회풍토 : 친절, 질서, 봉사·민간주도로 체제변화·1980 : 1,507
·1989 : 4,934
·경제발전 : 복합영농, 유통개선·역할분담체계구축
·환경개선 : 청결, 국토공원화·침체로부터의 탈출
5. 자율확대단계(1990∼2001현)·건전풍토 : 일하는 기풍, 도덕성·자율, 자립기반의 강화·1990 : 5,503
·1996 : 10,548
·경제안정 : 경제살리기, 근검·개방화, 지방화에 부응
·생활환경 : 환경가꾸기, 자치·경제위기극복 노력

(4) 역대 임직원현황

역대 임직원현황 - 구분, 지회장, 협회회장, 부녀회장, 문고회장, 사무국장, 직원 제공 표
구분지회장협의회장부녀회장문고회장사무국장직 원
1대김재형고장권양순자나일채손덕팔류기호
2대나일채김판근양순자김광배손덕팔김희정
3대김판근김광배김점남이상식손덕팔반은자
4대김판근김광배김점남이상식손덕팔오수미
5대김광배정찬균김점남이상식손덕팔김명주
6대김광배정찬균강화자이상식손덕팔김선주
7대김광배정찬균강화자이세혁손덕팔유은주
8대김광배정찬균강화자이세혁손덕팔
9대양병희김재영강화자이세혁손덕팔
10대김국태김상복강화자이세혁조병찬

(5) 서훈지도자 현황

서훈지도자 현황 - 성명, 주소, 내역, 훈격, 년도 제공 표
성명주 소내 역훈격년도
임종국장성군 서삼면조림성공사례발표새마을훈장근면장72. 6. 5
송세근장성군 진원면 고산부지런히 일해서 잘 살게 된 새마을새마을훈장협동장73. 12. 6
김명수장성군 장성읍노임소득과 기술 습득으로 잘 살게 된 새마을새마을훈장자로장76. 11. 9
김옥주장성군 황룡면 필암성공사례발표새마을훈장협동장72. 8. 15
김병숙장성군 북하면 중평광복절유공국민훈장석류장81. 2. 9
오순종장성군 장성읍 야은유공지도자새마을훈장근면장87. 11. 3
고재순장성군 삼계면 능성우수지도자새마을훈장
김균수장성군 진원면 선적우수지도자새마을훈장
기노걸장성군 북이면우수지도자새마을훈장
강화자장성군 삼계면 수옥우수지도자새마을훈장
김광백장성군 진원면 선적우수지도자새마을훈장88. 12. 31
김점남장성군 황룡면 필앞우수지도자대통령상
김경자장성군 황룡면 월평우수지도자대통령상
김판근장성군 장성읍 대창우수지도자국무총리상
김기순장성군 북이면우수지도자국무총리상
공재남장성군 북이면우수지도자국무총리상

1984∼2000년도 주요사업추진실적

1984∼2000년도 주요사업추진실적 - 단위사업, 사업명, 주요추진사항, 비고 제공 표
단위사업사업명주요추진사항비고
민간
주도화
기반
구축
산화
조직
확대
ο 지 회 : 1군 1읍 10면
-협의회 : 총 1,196명 280 현직 916 전직
-부녀회 : 총 2,445명 280 현직 1,128 회원 1,037 전직
-문 고 : 총 57명 14 현직 43 전직
-청소년 : 총 175명 ­ 현직 175 전직
새마을
국민정신
교육
강화
새마을
교육
ο 합숙교육
-새마을지도자 : 19회 2,132명
-사회지도층 : 17회 1,351명
-서비스업종사자 : 8회 649명
-청소년 회원 : 7회 494명
-기타 직능단체 : 15회 762명
ο 비합숙교육
-새마을지도자 및 기타 : 87회 14,045
소득증대
사업교육
ο 영농기술교육
-새마을소득특별지원교육 : 12명
-새마을지도자 : 7회 1,409명
-농어민후계자 : 21회 10,078명
-우수농고생 : 3회 139명
-순회교육 : 31회 2,645명
가정
새마을
교육
ο 식생활개선운동
-좋은식단정착을 위한 음식문화교육 : 19회 3,138명
-순회교육 : 183회 11,339명
올림픽
새마을
교육
ο 질서ㆍ친절ㆍ청결운동
-합숙교육 : 13회 1,667명
-비합숙교육 : 6회 3,775명
ο 경제살리기운동 : 5회 1,190명
지역
새마을
운동
추진
역량
강화
건전
생활
실천
운동
ο 인보사업전개
-노인 경로잔치 : 33회 1,740명 34,216천원
-양로원방문 : 111회 375명 23,750천원
-독거노인돕기 : 124회 272명 13,600천원
-영세가정돕기 : 18회 90가구 14,500천원
-실직가정돕기 : 13회 13가구 1,300천원
-소년소녀가장돕기 : 134세대 14,920천원
-사회복지 시설위문: 27회 629명 31,864천원
ο 건전가정 육성
-주부 작품 전시회 : 3회 1,359명
-모범 가정 표창 : 34회 102명 5,100천원
ο 가정 새마을운동
-가정 새마을운동 실천결의대회 : 5회 1,432명
지역
새마을
운동
추진
역량
강화
건전생활
실천운동
-근검ㆍ절약ㆍ저축 결의대회 : 3회 751명
-스티커, 홍보전단 : 6종 6,000매
-계도용 소책자 보급 : 3종 1,500부
전국토
공원화
자연환경
되살리기
-국토대청결운동 : 68회 13,668명
-자연정화활동 : 34회 1,734명
-소화천 책임구역 정화활동 : 31회 1,581명
-피서철 환경안내소 운영 : 17회 34개소 2,891명
-나라꽃 무궁화 심기 : 3회 127명 3,000주
-주요도로 꽃길조성 : 17회 17개소
-가로변 화단조성 : 13회 13개소
-소공원조성 : 6회 6개소
-국토공간 녹화 : 23회 23개소
살기좋은
고장을위한
새마을운동
건강한
지역사회
만들기
ο 쓰레기 분리 생활화
-쓰레기 분리 추진요강 배포 : 10회 10,000매
-하천, 계곡, 유원지 쓰레기 되가져오기 : 136회 2,992명
ο 내고장 가꾸기
-내고장 환경가구기 소책자 보급 : 1회 300권
-세계를 깨끗이 한국을 깨끗이 : 17회 61,404명
-골목길 환경정비 및 정화활동 : 204회 101.202명
-새마을대청소 (매월1.15일) : 408회 204,408명
-설ㆍ추석맞이 범국민대청소 : 51회 15,351명
-꽃길, 꽃동산 조성 : 17회 867명 14.9㎢
자원
봉사
활동
ο 준법 질서지키기
-5대사회악 추방 결의대회 : 5회 1,566명
-거리질서봉사대 운영 : 11개소 110명
-자율방법봉사대 운영 : 11개소 55명
-방역봉사대 운영 : 11개소 66명
-환경봉사대 운영 : 11개소 550명
-재해대책봉사대 운영 : 11개소 1,100명
ο 사랑의 노인섬기기 새마을며느리 봉사대 운영
-1읍면 부녀회 1노인정결연 : 188개소
-무의탁 노인 김장담가주기 : 72세대 (20kg 1통씩)
국경일
국기달기
운동
-태극기 가정용 : 3,500매 무료 보급
-태극기 차량용 : 3,000매 무료 보급
-캠페인 및 전단 배포 : 85회 4,675명 20,000매
식생활
의식개혁
운동
ο 폐식용유 저공해비누 제조 보급 : 920회 1,672천장 334,400천원
ο 음식물 쓰레기 1000만인 서명 : 6,276명 서명
학교폭력
근절
ο 청소년선도 방범봉사대 운영 : 2,190개소 35,367명
ο 방범순찰 및 계도활동 : 5,610회 308,510명
ο 홍보 및 전단배포 : 51회 10,285명 100,000매
나라
사랑
운동
경제
살리기
ο 경제살리기 서명 : 23,651명
ο 나라사랑 금 모으기 : 8,537돈 341,480천원
ο 숨은자원모으기 : 1,105톤 15,300천원
ο 생활개선운동
-새마을교육 과목 편성운영 : 17회
-소비절약 모범사례 발표대회 : 17회 34명
ο 국산품애용 전개
-사치 과소비 추방운동 : 374회 7,483명 1,000매
-외국산 담배 안피우기 결의대회 : 3회 658명
-소비절약 캠페인전개 : 187회 37,182명
-캠페인 및 홍보 전단배부 : 16회 3,200명 100,000매
ο 자원재활용 유도
-폐수집 15,263톤, 봉사자 2,885명, 환가액 39,646천원
-폐품수집소 설치운영 : 11개소 187회 1874명
-중고품 교환시장운영 : 36회 17개소 4,262명
ο 절약,저축 환경조성
-1지도자 1통장 갖기운동 : 1,438명
-새마을구판장 운영:마을단위 부녀회 자체 추진
ο 소비절약 저축 운동전개
-장바구니 사용 안하기 캠페인 : 136회 6,682명
-알뜰 교환시장 운영 : 17회 8,517명
-중고품 교환시장 운영 : 13회 877명
올림픽
새마을운동
질서ㆍ친절
청결 운동
-실천 다짐대회 : 17회 4,256명
-실천결의 대회 : 17회 5,108명
-거리질서 봉사활동 : 1,248회 13,728명
-교통혼잡지역 교통정리 : 1,224회 13,464명
-공중화장실 청결운동 : 146회 1,425명
-읍시가지 화분관리 : 17회 589명
-불량간판 정비, 벽보제거 : 287회 5,617명
-올림픽 새마을운동 홍보 전단배표 : 11회 5,000매
-환경오염 감시 활동 : 167회 5,088명
농촌 살리기운동애향운동ο 도ㆍ농 자매결연 및 농수산물 직거래
-도ㆍ농자매결연 : 광주ㆍ전남지역
-농수산물 상설시장운영 : 광주ㆍ전남지역
ο 애향운동전개
-우리농산물 애용 캠페인 : 127회 6,775명
-영농봉사단운영 : 11개소 196회 5,700명
ο 1촌 1품운동 전개
- 각지역별 특산물,명소,민속등 특산품의 소득원화
-1향 1품운동 가이드북 보급 : 50부
국민독서
생활화
운동
단위
문고
육성
ο 단위문고 지도
-기초, 자립, 자조문고 : 62개소
-읍ㆍ면 구심문고 : 16개소
ο 특수 새마을문고 조직운영
-직장ㆍ공장 새마을문고 설치 : 2개소
-구청민원실, 장성역, 경찰서문고 : 3개소
-피서지문고 설치 2개소
-문고센터설치 운영 (년중) : 1개소
국민
독서
운동
강화
-새마을독서대학 개설운영 : 1개소
-국민독서경진대회:년중
-새마을회관 도서실화 : 년중 23개소
-우수 도서, 양서보내기 : 17회 4,845권
-새마을문고 신문 보급:년중
-이동도서관 운영 : 차량 88대 2,743권 대출
1,110천여명 이용
소득
증대와
문화환경
조성
복지
환경
조성
ο 새마을회관 활용제고
-회의실,독서실,어린이 공부방 등 활용
새마을
시설물
효율적
관리
ο 새마을회관 : 11개소
ο 새마을군집기 : 156개소
ο 새마을창고 등 정비 : 11개소
특색사업중앙회
사업
ο 연해주개발 새마을협력사업
-협력기간 : 1997. 3월 ∼ 2037년. 3월 (50년간)
대상지역 : 러시아연해주 항카호 주변의 호롤군
추진사항 : 연해주 새마을운동센터 상주요원 파견
영ㆍ호남
자매결연
ο 영ㆍ호남 교류
-결연시기 : 1998년부터 ∼ 현재
-결연지역:영남(부산진구,경북 화동군,경남 함양군)
나라
사랑
운동
ο 북한 농촌 통일손수례보내기
-참여인원 : 2,500명 모금액 13,000천원
내고장
활력화
센터
운영
ο LG 신용카드사와 제휴
-내고장 그린카드발급 : 127건
-이용 금액의 0.1% 농촌발전 기금 활용
선진모형
가꾸기
ο 선진모형개발 모델마을 가꾸기
-삼계면 수옥리 옥천마을 700만원지원 외 1개소 선정
새마을운동
위상 정립
새마을운동
홍보
ο 새마을신문 보급
ο 포스터
ο 스티커
ο 전 단
직원
업무능력
배양
ο 목포 관리제도 시행
ο 직원 직무교육
QR CODE
  •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정보무늬는 『제2장 지역개발 160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제2장 지역개발 페이지 바로가기 주소(https://www.jangseong.go.kr/q/ezIyOTh8MTYwfHNob3d8fQ==&e=M&s=3), QRCODE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