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절 조선왕조의 성립
- 제2절 국가체제 · 사회구조와 장성
- 제3절 조선전기의 문화와 장성
- 제4절 왜란과 호란
- 제5절 조선후기의 사회변동
- 제6절 조선후기의 문화
- 제7절 조선왕조의 동요와 장성인의 임술의책
1. 16세기의 사회변화와 왜란
원본파일 다운로드
(1) 16세기의 사회변화
조선왕조에 있어서 16세기의 사회변화는 지배층의 분열이나 외적의 침입 뿐 아니라 정치·경제·사회·사상 등 각 분야에 걸쳐서 실로 중요한 변화가 있었던 시기이다.
정치적으로는 새로운 정치세력으로서 사림파가 형성되고, 이들이 중앙 정계에 진출하여 사화와 붕당 정치가 시작되었다. 사림의 정치 이상은 강력한 중앙집권국가의 건설이 요구되었던 고려말·조선초기의 역사적 상황에서는 큰 호소력을 갖지 못했으나, 이미 그러한 과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고 부분적으로 그 역기능까지 드러내고 있던 15세기 말기에 와서는 설득력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사림의 등장은 국가 발전을 중시하는 창업의 시대에서 지방 자치의 안정을 추구하는 수성의 시대로 넘어가는 전환기에 나타난 새로운 현상이었다.
사림이 중앙정계를 장악한 이후에 붕당정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사림은 본래 향촌의 사적 경제기반과 서원을 중심으로 한 학연관계, 그리고 동족이나 인척과의 결속을 통한 문벌 등 사회적 연관 속에서 그 조직이 이루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처음부터 폐쇄적 붕당적 요소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사림정치는 언론권을 대단히 중요시하였기 때문에 격렬한 이론투쟁이 뒤따르게 마련이었다. 더욱이 사림세력은 성리학적 명분론을 철저하게 신봉하고 있었기 때문에 옳고 그름의 분별이 매우 철저하였다. 이러한 사림의 체질은 자연히 붕당 사이의 대립과 경쟁을 한층 격화시켰다. 붕당은 선조 때에 동·서인의 분당을 시발로 하여 17세기에는 남인·북인·노론·서론으로 갈리었으며, 이후 여러 당파로 갈리어 17세기에는 붕당 분열의 극성기를 이루었다.경제적으로는 토지의 편중을 완화하고 관료와 농민의 자립기반을 안정시키는데 어느 정도 기여했던 과전법이 무너지면서 토지겸병현상이 다시금 고개를 들기 시작하였다. 여말에 성립된 과전법 대신 15세기 중엽 세조 때에는 직전법이 실시되었다가 성종 때에는 관수관급제가 시행되었으나, 이 마저도 16세기 중엽 명종 때에 들어와 폐지되고 말았다. 이에 따라 현직 관료들은 녹봉에 의지하는 생활에 곤란을 느끼고 토지겸병을 통하여 사유지를 확대해 나갔다. 이러한 현상은 중앙의 고급관료에 한정된 것이 아니었으며, 향촌의 토호들까지 이에 가담하여 전국적인 현상으로 번져 나갔다. 이들은 개간·매득·약탈 등의 방법으로 토지를 집적하였으며, 이에 따라 무전농민이 갈수록 늘어났고, 병작제가 보편화하였다. 이와 같은 토지겸병 현상은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한층 더 심화되었다.
이렇게 토지겸병이 성행하면서 병작관계는 더욱 확산되고, 농민의 계층분화가 촉진되었으며, 국가의 전세수입은 갈수록 축소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토지를 잃은 농민들 중 일부는 도시로 나가 상업에 종사하여 상업이 발달하였다.이에 따라 이 당시에 들어와서는 상업에도 조선초기와 같은 국가의 통제가 무너지면서 자유 상인인 사상의 활동이 비교적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서울에는 많은 상인들이 모여들어 시전상인 외에 많은 사상이 생겨났다. 이렇게 상업이 발달하여 서울의 인구가 늘어나자, 그들에게 식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곡물시장이 발달하였다. 상인들 가운데는 곡물매매만을 전업으로 하여 큰 부자가 된 사람들도 많았다. 부상대고(富商大賈)라고 불리던 큰 상인들은 곡물뿐 아니라 공물의 방납을 통해서도 막대한 이득을 얻었으며, 권력층과 결탁하여 중국이나 일본과의 사무역에도 종사하였다.
상업은 지방에서도 활기를 띠기 시작하여 향시(鄕市) 즉 지방의 장시(場市)가 각지에서 새로 생겨났다. 15세기 말부터 생겨나기 시작한 지방 장시는 1520년경에는 거의 전국적으로 보급되기에 이른다. 지방의 장시는 농업 기술의 발달로 구매력이 증대된 기반 위에서 성립한 것이었다. 농업기술의 보급이 선진적으로 이루어졌던 전라도 지방에서 장시가 먼저 대두하였다는 사실이 바로 그것을 말해준다. 장시를 통한 전국적 유통망은 이전의 어느 시기에도 없던 것으로, 집약적 농업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역사적 성과에 토대를 두는 하나의 사회경제적 발전이었다.
사회적으로는 부가 편중되면서 사회적 불만이 커져 가는 가운데 농민층의 저항이 일어났다. 농민 저항은 16세기에 들어와 심화되고 있는 토지 집중과 수취체제의 모순, 그리고 상업의 발달로 인한 계층분화와 농촌사회의 동요를 배경으로 일어났다. 경제적 변동에서 권신과 척신들의 탐욕으로 피해를 당한 것은 거의가 농민들이었다. 농민의 불만이 커감에 따라 전국 각지에서 도적떼가 일어나고, 그 중에는 중앙정부를 전복시키려는 정변까지 계획하는 야심가가 나타났다. 명종 때 황해도·평안도·함경도·강원도·경기도를 무대로 일어난 임꺽정 일당의 도적활동은 그러한 농민 저항의 한 예이다.
사상적으로는 16세기에 들어와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이기철학 중심으로 바뀌어 갔다. 새 왕조의 제도개혁과 관련하여 치인(治人)에 초점을 맞추어 수용되었던 성리학은 15세기말에서 16세기초에 걸쳐 훈척들의 비리를 경험하면서 도덕적 자기 완성을 목표로 하는 수기(修己)의 방향으로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바뀌어 갔다. 삼강오륜의 수신 교과서인 소학이 초기 사림에 의해 크게 주목되고, 기묘사림이 이를 전국적으로 퍼뜨린 것은 그러한 추세를 말해준다.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지면서 학자들이 큰 관심을 가진 문제는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였다. 도덕 정치의 출발이 수기에 있는 만큼 수기의 전제조건으로서의 인간의 본성을 철학적으로 해명할 필요가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이(理)와 기(氣)를 바탕으로 인간본성과 직접 관련이 되는 사단(四端)이나 칠정(七情)과 같은 심학(心學)에 대한 연구와 이해가 깊어졌다. 이는 동양철학사에서 특기할 만한 일이다.
(2) 임진왜란
붕당의 대립으로 양반사회가 분열되기 시작한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동아시아의 국제정세에는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었다. 중국에서는 여진족의 통합 기운이 거세게 일어나고 있었으며, 일본에서는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전국을 통일하였다. 토요토미는 그 여세를 몰아 조선을 침략하였다. 이것이 임진왜란이었다.
임진왜란 전 조선의 대일관계는 15세기에는 조선이 일본에 대해 강온 양면정책을 써서 무력으로 응징하기도 하고, 일본의 무역 요구를 적당히 들어주기도 하여 비교적 안정되었다. 그러나 16세기에 들어와서는 일본의 무역 요구가 더욱 늘어나고, 삼포에 거주하는 일본인의 수도 갈수록 많아졌다. 이에 위협을 느낀 조선정부는 비변사를 설치하여 군국기무를 장악하게 하는 등 대책을 세웠으나, 초당적으로 다루어야 할 국방문제가 당론의 차이로 효율적으로 추진되지 못하였다.
이 무렵 일본은 조선과는 달리 통일국가를 이루면서 국력이 충실해졌다. 15세기 후반기에서부터 시작된 100여 년간의 혼란이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서 종식되고 전국 통일이 실현되었다. 국내 통일에 성공한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그 여세를 몰아 조선을 정복하려는 야욕을 품게 되었다. 여기에는 전국시대에 양성된 지방세력가인 다이묘(大名)의 힘을 해외로 방출시킴으로써 국내적인 통일과 안정을 더욱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깃들여 있었다.
토요토미는 침략에 앞서 승려를 정탐꾼으로 보내어 조선의 산천과 정치정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 병력과 선박을 징발하고, 서양의 총포술을 도입하여 개량한 조총으로 군사들을 무장시키는 등 전쟁 준비를 철저히 하였다.그는 쓰시마도주(대마도주)를 통해서 조선에 대하여 을묘왜변 이후 단절되어 있던 국교의 재개를 요청하는 한편, 이른바 정명가도(征明假道)를 내세워 명을 정벌하러 가는데 필요한 길을 빌려줄 것을 요청하였다. 조선이 이에 응하지 않은 것은 당연한 이치였다.
한편, 조선 정부는 일본의 국내 실상과 토요토미의 저의를 살피기 위해 선조 23년(1590)에 황윤길(黃允吉)을 정사로, 김성일(金誠一)을 부사로, 허성((許筬)을 서장관으로 하여 일본에 통신사를 보냈다. 그러나 이듬해 3월에 돌아온 통신사가 받아 가지고 온 토요토미의 답서에 "정명가도(征明假道)"라는 표현이 있어 침략 의도가 분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정사와 부사의 보고가 일치하지 않아 정부의 대책이 실효성 있게 추진되지 못하였다. 정사인 황윤길은 반드시 침공이 있을 것이니 경계를 강화하여야 한다고 보고하였고, 김성일은 반대로 이를 공박하고 대일 안심론을 폈던 것이다. 이에 조정의 의견이 나뉘어, 서인은 황윤길, 동인은 김성일의 의견에 찬동하여 당파 사이의 대립만 더욱 조장시켰을 뿐이었다. 이에 따라 우세하던 동인 세력과 오랫동안 문약하여 무사안일에 젖어 있던 조정에서는 김성일의 보고를 따라 별다른 대책도 마련하지 않은 채 임진왜란을 당하게 되었다.
이때 조선의 관료들 사이에는 붕당 사이의 대립이 아주 심하였다. 그리하여 이이가 10만양병설을 주장하자 동인 인사들이 이를 평지풍파라고 배격하는 등 초당적으로 다루어야 할 국방문제까지 당론의 차이로 힘있게 추진되지 못하였다.
조정에서는 비변사의 보고와 빈번한 일본 사신의 왕래로 사태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것을 알고 뒤늦게 대책을 강구하였다. 그러나 그 대책이라는 것도 실효성 있는 것이 아니어서 김쇄(金 ), 이광(李洸), 윤선각(尹先覺) 등으로 하여금 무기를 정비하고 성지를 수축하게 하였으며, 신립(申砬), 이일(李鎰)로 하여금 변비(邊備)를 순시케 하는 정도였다. 이러한 대책도 요충지인 영남지방에 한정된 것이었다. 한편으로 유성룡의 추천으로 이순신을 전라좌수사로 임명하여 일본의 침략에 대비하였으나, 이미 때는 늦었다.왜군은 20만의 대군으로 선조 25년(1592) 4월에 조선을 침략하였다. 부산첨사 정발(鄭撥)과 정읍출신인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과 장성출신인 양산군수 조영규는 부산과 동래에 상륙하는 왜군을 맞아 최후까지 항전하다가 순국하였다. 동래에 상륙한 왜군의 주력부대는 동래로부터 동로·서로·중로로 삼분하여 서울을 향하여 북진하고, 한 지대(支隊)는 연안 지대를 따라 서쪽으로 진출하였다.
왜군이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양산, 밀양을 거쳐 파죽지세로 서울을 향하여 북상하자, 이에 당황한 조정에서는 순찰사 이일을 상주로, 도순변사 신립을 조령으로 보내어 왜군을 막게 하였다. 그러나 이일은 상주에서 패하고, 신립은 충주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치고 사투를 벌였으나, 패전하여 전사하였다. 아무런 준비 태세를 갖추지 못하고 있던 조선으로서는 잘 훈련된 데다가 조총으로 무장한 왜군을 막을 수는 없었으며, 더욱이 15세기 후반부터 야기된 부역제의 모순으로 방군수포(放軍收布)가 성행하게되어 이미 군사동원 체제가 유명무실해졌던 것이다.
왜군이 파죽지세로 북상하여 서울 근교에까지 이르자 선조는 하는 수 없이 평양으로 피난하였다. 이에 서울은 왜군이 부산에 상륙한 지 불과 20일 만인 5월 3일에 왜군에게 함락되었다.선조는 임해군과 순화군을 함경도와 강원도로 보내어 근왕병(勤王兵)을 모집하는 한편, 이덕형을 명나라에 보내어 원병을 요청하였다. 서울을 함락한 왜군은 다시 북진을 계속하여 임진강에서 도원수 김명원(金命元)의 방위군을 격파하고 개성을 점령한 다음, 이어서 6월 13일에는 평양마저 함락하였다. 한편 함경도까지 북상한 가토오 키요마사(加藤淸正)는 임해군과 순화군을 사로잡았다.
평양이 함락되자 선조는 다시 의주로 피난하였다. 이 때 민심이 극도로 흉흉하여 근왕병으로 지원하는 자도 없었으며, 정부의 무능에 격분한 백성들이 피난가는 선조의 어가를 막으면서 원성을 터뜨리기까지 하였다. 서울에서는 일부 노비들이 혼란한 틈을 타서 노비의 문적을 맡고 있는 장례원과 형조를 불질렀고, 이 때문에 궁궐이 소실되었다.육지에서의 참패에 반하여 해전에서는 도처에서 왜군을 섬멸하고 있었다. 전라좌수사 이순신(李舜臣)이 이끄는 전라도의 수군은 태종 때에 왜구에 대비하여 만들었던 거북선을 개량하고, 거기에 왜군의 것보다 우수한 화포를 설치하여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다가 왜군이 침입하자 전라우수사 이억기, 경상우수사 원균와 함께 옥포·당포·당항포·부산포 등의 해전에서 큰 전과를 올렸다. 특히 한산도에서는 적선 60여 척을 쳐부수는 전과를 올려 임진왜란 3대첩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이순신 함대의 활약으로 해상권을 완전히 장악하여 북진하는 육군과 합세하려던 일본의 작전이 무너졌으며, 전라도의 곡창지대를 안전하게 지킬 수 있었다.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에 임명되어 전라도와 경상도 충청도 삼도의 수군을 통솔하게 되었다.
해전에서의 잇단 승전과 때를 같이하여 육지에서도 각 지방에서 유생과 농민, 승려들이 들고일어나 의병을 조직하여 왜군에 저항하였다. 이들은 정부의 모병에는 소극적이었지만 왜적에게 침탈을 당하자 자기 가족과 재산 그리고 자기 고장을 지키지 위해서 거병하였던 것이다. 의병은 농민이 주축을 이루었으나, 그들을 조직하고 지도한 것은 전직관료와 사림 그리고 승려들이었다. 의병들은 향토지리에 익숙하고, 향토조건에 맞는 무기와 전술을 터득하고 있어서 매복·기습·위장 등의 유격전술을 많이 써서 적은 병력으로 적에게 큰 어려움을 주었다. 의병은 각처에서 일어나 그 수를 헤아리기 어려우나 그 중에서도 충청도 옥천에서 일어나 청주의 왜병을 축출하고 금산에서 왜병을 공격하다가 전사한 조헌, 경상도 의령에서 거병하여 의령과 창녕 등지에서 적을 물리치고 진주에서 김시민과 함께 왜적을 격퇴한 곽재우, 전라도 장흥에서 거병하여 은진에까지 북상하였다가 금산에서 왜군과 격전 끝에 전사한 고경명, 호남에서 거병하여 수원을 근거로 왜군을 격퇴하고 강화로 진을 옮겼다가 제2차 진주전에서 전사한 김천일, 함경도에서 활약하여 경성·길주 등지를 회복하고 관동지방의 왜적까지도 축출한 영광인 정문부 등은 유명한 의병장이었다.
또 묘향산의 노승 휴정(서산대사)은 격문을 팔도의 승려에게 보내어 그의 제자 유정(사명당)과 함께 1,700여명의 승병을 이끌고 평양 탈환전에 공을 세웠다. 그는 이로 인하여 도총섭(都摠攝)에 임명되었으며, 그의 제자 처영도 승병을 모집하여 전라도에서 권율을 도와 활약하였다. 이밖에도 평안도의 조호익·양덕록, 경기도의 심대·홍계남·경상도의 김면·정인홍·권응수, 황해도의 이정암 등 많은 의병장이 활약하였다.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의 승리와 각지에서 일어난 의병의 활약으로 모든 전선에서 반격을 강화하여 전세가 반전되어 가고 있을 때 이여송이 이끄는 5만 명의 명나라 지원군이 도착하여 조선군과 합세하였다.명은 처음 조승훈을 보내어 평양을 치게 하였으나 실패하자, 심유경을 보내어 휴전을 교섭하는 한편, 다시 이여송에게 4만 3천명을 주어 조선을 구원하게 하였다. 명군은 조선군과 연합하여 평양을 탈환하고 이어 계속 왜군을 추격하여 남진하다가 고양의 벽제관에서 패하자 다시 평양으로 후퇴하여 왜군과 화의를 맺으려 하였다.
이 때 권율은 명군과 합세하여 서울을 수복하려다 명군이 평양으로 퇴각하자 행주산성에서 고립상태에 빠져 왜군의 공격을 받았다. 그는 전라도의 관군 만여명과 대흥사의 승려 처영의 도움 그리고 변이중의 화차로 적은 병력이지만 배수진을 치고 피나는 사투를 벌여 대규모 병력으로 공격해온 왜군을 물리쳤다. 이 전투는 김시민의 진주싸움, 이순신의 한산도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 승리의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행주산성 싸움에서 패배한 왜군은 드디어 서울을 포기하고 경상도의 웅천(창원)·울산 등 해안 일대로 퇴각하여 명나라와의 화의에 응했다. 왜군은 조명연합군의 반격에 예기가 꺾인 데다가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의 활동으로 본국과의 보급 연락마저 위협을 받고 있었으며, 각지에서 의병들의 유격전에 시달리고 거기에 더하여 악역까지 유행하여 전의를 잃고 있었다.
한편, 왜군은 화의교섭이 진행되는 중에 진주성을 공격하여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이 전투에서 나주 출신인 의병장 김천일, 능주 출신인 경상우병사 최경회, 남원 출신인 충청병사 황진, 광주 출신인 고종후와 호남의병들이 전사하고 성은 마침내 함락되었다. 이 진주성 싸움은 임진왜란 중 가장 치열한 전투로 3대첩의 하나였다.
조선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명나라와 왜군 사이에 진행되던 화의는 피차 승리로 자처하는 가운데 3년간 끌다가 토요토미가 제시한 무리한 조건으로 결렬되고 말았다. 왜군이 제시한 화의조건은 ① 명의 황녀를 일본의 후비로 보낼 것, ② 조선 8도 중 4도를 할양할 것, ③ 조선왕자 및 대신을 인질로 보낼 것 등이었다. 명나라의 화의 대표인 심유경은 이 조건을 명나라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 분명하였므로 아예 그 요구를 숨기고 거짓으로 '도요토미가 왜왕의 책봉을 희망한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명나라에서는 심유경의 보고에 따라 선조 29년(1596)에 도요토미를 일본국왕에 봉한다는 책서(冊書)와 금인(金印)을 내렸다. 그러나 명의 국서를 받아본 도요토미는 심유경에게 속은 것을 알고 대노하여 재침을 명령하여 다시 전쟁이 일어났다. 이것이 정유재란(1597∼1598)이다.
선조 30년(1597) 1월에 왜군은 14만 대군으로 침공하여 먼저 동래·울산 등의 성을 점령하고, 이어서 김해·사천·진주 등 경남 일대를 함락하였다. 이 때 삼도수군통제사인 이순신이 원균의 모함으로 투옥되고, 대신 원균이 삼도수군통제사가 되었다. 그러나 그는 적의 유인에 빠져 칠천량 해전에서 대패하였고, 원균도 이 싸움에서 전사하였다. 이로 인해 조선 수군은 그 주력을 상실하고 제해권을 빼앗기고 말았다. 해전에서 승리한 왜군은 여세를 몰아 육군을 호남·호서지방으로, 수군을 전라도 해안을 따라 북상시킬 기세였다. 왜군은 동년 9월에 남원과 전주를 차례로 함락하고, 북진을 계속하여 공주를 거쳐 직산까지 점령하였다.
급보에 접한 명나라는 다시 원병을 보내어 조선과 명나라의 원군이 연합하여 북상하는 왜군을 직산 북방 소사에서 저지하였다. 그 사이 조선도 군비를 새로이 갖추고 대비하고 있어서 이전보다 쉽게 왜군을 물리칠 수 있었던 것이다. 왜군의 신무기인 조총을 우리가 제작하여 무기의 약점을 보완하였고, 훈련도감을 설치하여 군대의 편제와 훈련방법을 바꾸었다. 속오법을 실시하여 지방군편제를 능률적으로 개편하고, 명나라 장군 척계광의 {기효신서(紀效新書)}를 참고하여 군인을 살수·사수·포수의 삼수병으로 나누어 훈련시켰다.
한편 바다에서는 이순신이 삼도수군통제사로 복귀하여 남은 병선 12척과 흩어진 군사를 거두어 전비를 갖추고 서해로 향하는 왜 수군의 주력부대 130여 척을 명량 해상에서 대파하고 제해권을 다시 잡았다. 이어서 이듬해 7월에는 명나라 수군 제독 진린(陳隣)과 연합하여 순천에서 적을 봉쇄하여 공격하고, 이어서 고금도에서 왜의 수군을 대파하여 기세를 올렸다.
육지와 바다에서 참패를 당하여 왜군이 전의를 잃고 있을 때 토요토미가 병사하자 왜군은 이를 기화로 철수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이순신은 노량 앞 바다에서 도망가는 왜군의 퇴로를 막고 최후의 일격을 가하여 적선 300척과 싸워 200여 척의 적선을 격침시켰으나, 불행하게 적의 유탄에 맞아 전사하고 말았다. 이 노량해전을 끝으로 하여 임진왜란은 7년만에 끝나게 되었다.7년 동안 계속된 임진왜란은 16세기 말엽 동아세아 전사회를 뒤흔들어 놓았다. 이 전란으로 조선이 입은 피해는 대단한 것이었다. 인구의 감소와 대대적인 유망, 그리고 농지의 참담한 황폐는 조선사회를 그 밑바닥으로부터 붕괴시켰다. 특히 농지의 황폐는 농민의 생활을 비참하게 만들었으며, 이에 따라 국가의 재정 역시 악화되었고 조세의 파악 근거인 호적과 양안(量案)마저 소실되어 버렸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신분제의 해이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전쟁 초에 노비들에 의해서 노비문적을 관장하는 장례원(掌隸院)이 소각됨으로써 많은 노비들이 손쉽게 도망하였으며, 군량미의 확보책으로 실시된 납속책으로 노비가 양인이 되고 양인이 양반이 됨으로써 조선 전기의 엄격한 신분체제가 무너지기 시작하였다.
임진왜란은 조선 뿐 아니라 중국과 일본에도 큰 타격을 주었다. 중국에서는 전란 중에 크게 성장한 여진족이 명나라를 멸망시켰다. 일본에서는 전쟁에 참여했던 서부 지방의 영주들이 몰락하고 동부의 영주들이 흥기하여 토구카와 이에야쓰(德川家康)의 통일국가가 성립하였다.
2. 의병과 오천(鰲川) 김경수(金景壽)
원본파일 다운로드
임진왜란 때에 관군이 참패를 거듭하는 상황에서 의병의 활약은 난국을 극복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의병은 유학이 발달하여 사림 세력이 강한 지역에서 먼저 일어났다. 호남에서는 장흥의 고경명, 나주의 김천일, 장성의 김경수, 남원의 변사정, 순창의 양사형 의병이 일어났다. 이들은 각각 병력을 인솔하여 6월 3일 담양에서 집회하여, 고경명을 의병장으로 추대하고 의병 투쟁에 나섰다. 이 가운데서도 장성의 의병은 광주 의병, 나주 의병과 더불어 호남 의병의 주요 세력을 이루었다.
장성 의병은 전좌랑(前佐郞) 김경수(金景壽)가 주동이 되어 일어났다. 1592년 7월 18일에 금산에서 칠백의사가 패몰했다는 소식을 듣고 같은 장성 출신인 기효간(奇孝諫), 김수일(金守一), 정운룡(鄭雲龍), 김언욱(金彦 ), 김경남(金景男), 김억일(金億鎰), 이근(李根), 박경(朴璟), 서세(徐 ), 김해(金垓), 김홍원(金弘遠), 홍원(洪遠) 등이 창의하여 김경수를 맹주로 추대하였다. 창의 당시의 규모는 동년 8월 24일의 군사 점검 결과에 따르면 의병 239명과 군량 190석 2두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규모로는 효과적인 의병 투쟁을 수행할 수 없다는 것을 안 김경수는 동년 8월 29일 "적은 군대로 적에게 돌진하는 것은 호랑이에게 고기를 던져주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고 말하고서 각자 고향으로 돌아가 더욱 많은 군사와 곡식을 모아 올 것을 다짐하고 각기 되돌려 보냈다.
그 사이 김경수를 중심으로 한 장성 의병의 지도자들은 각지에 격문을 보내어 군사를 모집하고 군량을 비축하면서 힘을 길렀다. 그러다가 동년 10월 16일에 김경수는 각지에 통문을 보내 10월 20일에 각자가 모집한 의병과 곡식을 가지고 남문에 모이도록 하였다.
이렇게 하여 의병이 재차 결집된 후 11월 9일에는 순창 현감 김제민(金齊閔)이 의병장이 되어 웅치(熊峙)에 있는 왜적을 격파하고자 하여 그의 두 아들과 함께 순창현의 군관 70명과 의병 120명을 거느리고 와 장성 의병과 합세하였다. 그는 많은 군량과 군기까지 수습해 가지고 왔다. 이어 11월 17일에는 짚으로 약식의 단(壇)을 설치하고 김경수를 맹주로 삼고, 김제민을 의병장으로 삼고 군량과 군기 등의 소임도 정하여 의병 조직과 지휘체계를 정비하였다. 그 사이에 의병의 조련도 끊이지 않고 계속되어 군대로서의 위의를 갖추게 되었다.
이렇게 진용이 갖추어지자, 11월 24일에 김제민을 의병대장으로 하여 김홍우, 김신남(金信男), 김수일, 윤진(尹軫), 김부(金溥), 김경남, 유희진(柳希津), 윤조(尹趙), 홍원, 김언욱, 박안동(朴安東), 김극후(金克厚), 김극순(金克純), 김성진(金聲振), 김란(金蘭) 등이 의병 1,651명과 군량미 496석을 가지고 장성 남문을 떠나 남하하는 왜적을 치러 북상하였다. 드디어 12월 19일 이여송군에게 패하여 남하하고 있던 왜군을 만나 직산에서 이를 대파하였다. 이어서 이듬해 정월 10일에는 용인에서 패주하여 남하하는 왜군을 만나 크게 무찔렀다. 이렇게 왜적을 한참 무찌르고 있을 때 송응창(宋應昌)이 화의를 다시 주장하였다. 이럴 즈음에 마침 김제민이 이끄는 장성 의병은 군량미가 바닥나 군병을 이끌고 남하하지 않을 수 없었다. 장성에 돌아온 의병은 일단 흩어져 각자 고향으로 돌아갔다.
그러나 일본과의 화의 교섭이 결렬되자, 명나라 군사가 왜적을 치기 위하여 남하한다는 소식을 접한 김경수는 1593년 5월 29일 장성 남문에 재차 의병청을 설치하고 의병과 곡식을 모집하였다. 이 때 장성현감 이귀(李貴)가 정예한 관군 40명을 선발하여 담용군(膽勇軍)이라 칭하고, 아울러 관군 300명을 조련하여 절강병법을 가르쳐 의병에 가담하게 하여 의병의 기틀이 잡혔다. 이렇게 하여 6월 3일까지 의병 836명과 군량미 692섬이 확보되었다.
김경수는 그의 두 아들 극후, 극순 형제에게 의병과 군량을 나누어 진주성으로 보냈다. 진주성에 도착한 장성의 의병은 김천일, 최경회, 황진, 심우신, 고종후 등의 의병장과 함께 6월 21 일부터 29일까지 진주성의 혈전에 참가하였다. 이들 장성 의병들도 진주성에 참전하였던 다른 의병들과 마찬가지로 진주성의 함락과 함께 모두 순절하였다.
3. 망암(望庵) 변이중(邊以中)과 화차(火車)
원본파일 다운로드
변이중은 명종 1년(1546)∼광해군 3년(1611)에 살았던 장성이 낳은 빼어난 인물이다. 특히 그는 임진왜란 때에 종래의 화차의 기능을 개량시켜 행주화성에서 사용하여 대첩을 거두는데 큰 공을 세운 것으로 널리 알려졌다.
변이중은 자를 언시(彦時), 호를 망암(望菴)이라 하였다. 본관은 황주이며 택(澤)의 자이었다. 선조 원년(1568) 사마시를 거쳐 동왕 6년(1573)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문과에 급제한 후 외직으로는 어천 찰방과 선산부사를, 내직으로는 낭청, 전적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그러나 그의 관직 생활은 그리 순탄하지 많은 않았다. 그는 선조 28년(1595) 5월 부호군으로 종군하고 있을 때에 사헌부의 탄핵을 받아 파직되었다. 그 후 변이중은 선조 30년(1597) 왕이 대신 및 비변사 유사 당상을 인견하는 자리에서 유성룡이 전라도가 전쟁 내내 군량미와 경비를 대느라 민력이 탕갈되어 백성의 이산이 많으니 이를 위유하기 위해서 전라도의 인재를 거두어 쓸 것을 건의하면서 그 중의 하나로 변이중을 천거하여 서용되어, 김덕함(金德 )과 함께 강화도에 중국의 식량을 저장할 창고를 짓는 일을 주관하였다. 이후 변이중은 선조 32년(1599) 5월 경술(초3일)에 선산부사를 제수 받았으나 부임한지 3일만에 다시 파직되었다.
변이중은 임진왜란을 극복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그는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 소모사가 되어 병마와 무기를 갖추고, 선조 26년(1593) 2월 죽산에 주둔하고 있는 왜적을 공격하다가 크게 패한 바 있었다. 변이중은 이 싸움에서 소가 끄는 수레를 많이 준비해 가지고 학익진을 치고 적과 대치하고 있었으나, 왜적이 화공으로 수레를 불태워 군사들이 많이 죽었으며 그도 겨우 죽음을 면하였다. 변이중은 이 무렵에 소가 끄는 수레를 실전에 이용하려 시도했던 것으로 보인다. 같은 달 기유(24일)에 권율장군이 행주산성에서 왜적을 물리치고 고산현감 신경희를 보내어 전과를 보고하는 자리에서 신경희가 "소모사 변이중은 수레 만들기를 독촉하여 백성들에게 소를 바치라고 다그치므로 백성들이 그 고통을 견디지 못하고 있습니다."라 한 바 있는데, 이것도 그가 수레를 실전에 이용하기 위하여 징발하면서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변이중은 선조 26년(1593) 11월에는 조도사(調度使)가 되어 검찰사(檢察使) 김찬(金瓚)과 함께 전라도에 파견되어 군량을 모았으며, 양천에 주둔하면서 서울에 있는 왜적을 쳐서 많은 전과를 올렸다. 또 순찰사 권율이 행주산성에서 왜적과 대치하고 있을 때 화차 300량을 만들어 주어 행주산성의 대승을 거두게 하였다.행주산성에서 사용된 화차는 변이중이 이전에 있던 화차를 개량한 것으로 우리 나라의 전통적인 화기제조기술이 집약된 것이다. 이 화차는 수레(차) 속에 40개의 총구멍을 뚫어 구멍마다 승자총통을 걸고 심지를 이어서 차례로 발사하게 된 병기로 일종의 로켓트 발사차라 할 수 있다.
조선 초기의 화기 제조 기술은 태종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이의 개발을 독려함으로써 발달의 계기를 맞게 되었다. 그리하여 태종 때에는 화약의 성능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이를 발사하는 화차까지 제작되었다. 이 때의 화차는 화살 수십 개씩을 장전한 구리 통을 작은 수레에 싣고 달리면서 화약으로써 발사하는 일종의 장갑차였다. 이 화차는 문종에 의하여 한층 성능이 개량되었다. 문종에 의하여 개발된 화차는 수레 위에 시렁을 만들어 그 위에 발사대를 걸쳐놓고 발사대 안에 중신기전(中神機箭) 100개나 사전총통(四箭銃筒) 50개를 꽂아 설치하고 심지에 불을 질러 차례로 발사하는 것이었다. 크기와 무게는 평탄한 곳에서는 2명이 쉽게 끌 수 있었고, 약간 경사진 곳에서는 1명이 뒤에서 밀고, 아주 높고 험난한 곳에서는 2명이 끌고 2명이 밀어야 올라갈 수 있었다. 그 뒤에 이 화차에는 장갑 장치의 부설도 고안되었으나, 기동성이 없어진다는 이유로 처음 구조대로 쓰도록 하였다. 이 화차는 시렁과 발사장치만 떼어내면 그대로 일반 짐수레로 사용할 수 있어서 평시에는 각 관청에 나누어주어 운반용으로 사용되었으며, 긴급 시에는 화포를 싣는 전투용으로 사용되었다. 변이중이 개량한 화차에 대해서는 그의 문집인 『망암선생문집』(건)의 [화차도설]에 자세하게 보인다.
변이중이 만든 화차는 권율의 행주산성 싸움에서 뿐 아니라 박진의 경주 탈환전에도 사용되어 혁혁한 전과를 올렸다.변이중은 화차 제조뿐만 아니라 율곡의 문하로서 원리기(原理氣), 태허설(太虛說), 황극경세수해(皇極經世數解)를 저술하여 성리학에도 상당한 수준에 올랐음을 보여주고 있다.왜란이 끝난 뒤에 변이중은 함안군수에 제수되었으나, 이를 사임하고 향리인 장성에 돌아와 하곡(霞谷) 정운용, 우급(友扱) 김추택(金秋澤)과 더불어 향당의 여러 벗들과 함께 경전을 토론하고 의리지학을 강구하여 후진을 양성하였다. 또한 그는 송의 여씨 향약을 본따서 향헌 10절조를 세워 춘추에 강습하여 향속을 크게 변화시켰다.뒤에 나라에서 호성일등, 선무이등 원종공신에 봉하였으며,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호남사림이 그의 유허에 봉암서원을 창건하여 춘추에 향사하였다.
4. 병자호란과 장성
원본파일 다운로드
임진왜란 이후 조선을 둘러싼 주위의 국제 정세적 역학관계는 크게 변화되고 있었다. 북방의 여진족이 급속히 성장하여 후금을 세우고 국력이 약해진 명과 조선에 압력을 가하기 시작하였다.후금은 명을 공격하기에 앞서 조선과 명의 관계를 단절하여 조선을 중립적인 위치에 두고자하였다. 이에 반하여 명은 조선과 연합하여 후금의 남진을 막아내려고 하였다. 조선은 이러한 양국의 이해관계에 휩싸여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다.
선조의 뒤를 이은 광해군은 중립적인 양면외교정책을 실시하여 대외관계가 안정되었으나, 인조반정으로 새로이 등장한 서인세력은 친명배금정책을 표방하여 후금과 날카롭게 대립하게 되었다. 이러한 때에 조선에서 인조반정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은 이괄 일당이 반란을 일으켰다 패하자 후금으로 도망하여 부당성을 호소하자, 후금은 이를 구실로 3만 대군으로 조선을 공격하였다. 이것이 정묘호란이다. 이 싸움에서 조선은 후금에 굴복하여 형제의 의를 맺고 강화하였다.
후금은 그 뒤 더욱 세력이 커지게 되자 국호를 청이라 바꾸고, 조선에 대해서도 종전의 형제관계에서 군신관계를 강요하기에 이르렀다. 청의 강압적 요구에 조정의 여론은 주전파와 주화파로 양분되었으나, 대세는 주전론으로 기울어져 선전의 교서가 팔도에 내려졌다.
이에 인조 14년(1636년) 12월 청 태종은 직접 10만의 대군을 이끌고 질풍같이 쳐내려왔다. 이를 병자호란이라 한다. 청군은 불과 5일만에 서울을 점령해 버렸으며, 왕족과 일부 관리들은 강화로 피신하였다. 인조도 강화로 피난하려 하였으나, 청군에게 강화로 들어가는 길이 막히자, 군신들과 함께 남한산성으로 피신하여 40여 일 간 농성하다가 사태가 기울어진 것을 알고 청군에 항복하였다. 이 때에도 조선은 청의 요구대로 군신관계를 맺고 명과는 국교를 단절할 것을 약속하고 강화하였다. 이 때 소현세자와 봉림대군의 두 왕자와 삼학사를 비롯한 주전론자들이 인질로 잡혀가고 많은 백성들이 포로로 끌려갔다.
병자호란 중에 호남에서는 남한산성으로부터 근왕의 격문을 받고 옥과현감 이흥조(李興潮), 전별좌 안방준(安邦俊), 순창현감 최온(崔蘊), 전한림 양용만(梁容曼), 전찰방 유즙(柳楫) 등이 창의하여 모병청을 설치하고 의병을 규합하여 청주까지 진군하였으나, 인조의 항복 소식을 듣고 의병을 해산하여 돌아왔다.이 때 장성에서는 유즙, 김지보(金地寶), 나통서(羅通緖), 변덕윤(邊德胤), 신필(申 ) 등이 의병과 곡식을 모집하여 청주까지 호남 의병을 따라 진군하였다가 돌아왔다. 이 중 나통서는 울분을 이기지 못하고 병사하였다고 한다. 또 박윤감(朴允鑑)은 입암산성 유진장(留鎭將)으로 군량보급에 많은 공을 세우고 근왕병으로 참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