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로고

국가상징 국무회의 알아보기

제2장 마을유래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5차 메뉴 정의

제3절 남 면

원본파일 다운로드

(1) 연혁

남면은 삼한시대에는 구사오단국, 백제시대에는 구사진혜현, 통일신라시대에는 진원현 지역으로 갑성군의 속현이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나주목에 예속되었다. 1600년(선조 33)에 장성현에 편입된 지역이다.
1789년 강행한《호구총수》에는 남일면은 17개마을 287호에 1,030인이 살고 있으며, 남이면은 13개마을 329호에 1,080인이 살았다고 하였다. 따라서 30개마을 616호에 2,110인이 살았음을 알 수 있다.
1910년 9월 30일 칙령 제357호로 [조선총독부 지방관제]에 의하여 군에 면을 두고, 면에 면장을 두되 면장은 군수의 지휘 감독을 받아 면행정사무를 처리하도록 되어 면사무소가 설치되었다. 이때의 마을은 42개 마을이었다.

남일면은 현 분향리(분향, 죽분, 궁산, 병계), 삼태리(동태, 중태, 서태, 치촌, 회산), 월곡리(월곡, 신촌, 금리, 덕촌, 평촌일부), 월정리(불정, 월산, 월계, 신아산, 만동, 장성안청) 지역이었고 이때의 소재지는 분향리 69-1번지(죽분) 이었다.남이면은 녹진리(도림, 녹진, 마산), 덕성리(회룡, 신안, 영산, 덕성, 자은, 풍산), 마령리(서촌, 내마, 외마, 선창, 선평, 백운, 반계, 시정), 행정리(검정, 행정, 송정), 평산리(평산, 장산, 옹점, 신평) 지역이었고 이때의 소재지는 평산리 534번지(장평)였다. 1914년 행정구역개편으로 남일면과 남이면, 내동면의 일부(시목, 영동), 광주군 삼소지면 일부(저작) 지역을 합병하여 남면이라 하고, 9개 법정리에 44개 마을이 되었다. 면소재지는 평산리 남이면 사무소를 사용하였다. 1920년에 사무소를 분향리 445번지(분향)로 옮기었다. 1930년에 다시 분향리 69-1번지(분향)로 옮겼다. 1995년에 분향리 334번지 현재 사무실로 옮겼다. 현재 9개 법정리 41개 자연마을에 1,618세대 4,242인이 살고 있다.

(2) 분향리(芬香里)

분향리는 본래 남일면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죽분리와 궁산리, 병계리, 내동면의 영동, 시목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분향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기존마을인 궁산리와 병계리·영동은 없어지고 새로 분향에서 매향·시목에서 마흥·죽분에서 중앙이 각각 분리하였다. 현 행정이동으로 분향 1리는 분향·매향, 분향 2리는 죽분, 분향 3리는 시목·마흥 분향4리는 중앙으로 하고 있다.

ㅇ 분향(芬香)

분향마을 성촌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처음에 장수황씨가 터를 잡고 집성촌을 이루고 살았고, 다음에 해주정씨가 들어왔다 하며, 1710년경에 영양천씨인 천귀흥(1688-1746)이 우복동에 터를 잡아 정착하였다고 한다. 뒤에 경주최씨·수원백씨·밀양손씨·금성오씨·이천서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현재 영양천씨 27호, 김해김씨 7호, 광산김씨 5호, 순흥안씨·금성오씨 4호·진주강씨·하동정씨 3호, 전주이씨·경주최씨 2호, 광주노씨·교하노씨·황주변씨·연안차씨·문화유씨 등 21개 성씨가 총 121호에 342인이 살고 있다. 그중 매향에 43호가 살고 있다. 마을형국이 매화낙지형국으로 매화향기를 뜻해 분향이라 하였다고 한다. 1960년대에 학교 앞 새터를 매향(梅香)이라 하여 분향에서 분리하였으나 1970년대에 분향으로 다시 합병하였으나 지금도 매향이라 부른다.

1920년에 면사무소가 마을로 옮겨와 면소재지 마을이 되고, 1934년 분향초등학교가 설립되었으며, 1985년 남면보건지소 설립되었다. 1995년에 현재 면사무소로 옮겨갔다. 인물로는 남면장을 지낸 천세욱·천익준·천광욱·천일창과 관재국 총무과장 천명수, 장성북중 교장 천세봉, 초등학교장 천명엽, 동인방사선과 원장 천명철, 공군중령 천왕봉, 국방부 병무국장 백형채, 호남대교수 천병권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문화유적으로는 향포정(문화유적편 참조), 천효자(복철)망곡단비(문화유적편 참조), 밀양박씨 효열각, 면장천공세욱공덕불망비 등이 있다.

ㅇ 죽분(竹芬)

죽분마을의 성촌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다. 마을 위쪽에 내상(내동)리가 먼저 생긴 마을로 마을 앞에 수구막이 나무들이 있어 마을을 가리고 있었는데 중년에 시주차 들린 스님을 박대하여 스님이 이 마을은 앞에 있는 나무를 배면 마을이 더 흥할 것이라 하였다. 이 말에 수구막이 나무를 베어 버렸다 한다. 이후 마을이 폐촌이 되고 아래쪽에 마을이 형성되어 죽분이 되었다고 한다. 1600년대에 남평문씨와 동복오씨가 처음으로 들어 왔으며 그후에 전주이씨가 들어 왔다. 마을형성은 전주이씨 13호, 장수황씨·광산김씨 8호, 동복오씨·김해김씨·조양임씨 6호, 남평문씨 5호, 평택임씨 4호, 밀양박씨·밀양손씨·함평이씨·고령신씨·부안김씨 3호, 함양박씨·진주강씨·이천서씨 2호, 연안차씨·장흥고씨·해주최씨·진주하씨·인동장씨 등이 111호에 339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조리형국으로 죽산죽하초두로혈(竹山竹下草頭露穴)이라 해서 처음에는 죽분(竹墳)이라 하였는데 1900년 이후에 죽분(竹芬)으로 글자가 바뀌었다.1910년 면제 실시에 따라 남일 면사무소가 마을에 있었으나 1914년에 남이면에 합병되어 평산리로 옮겼다.
인물로는 남면장 신선우·황금주, 농산물검사소장 강창록·황의선, 농림부 기좌 이명모, 전남임업시험장장 이문환, 육군중령 황복연, 중앙인사관리위원회 황기연, 육군 소장 백종렬, 천원역장 오치상, 현대건설부장 차상준, 목사 남정규·임재환·최원수·손경수·최룡, 남면노인회장 이춘환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는 황의선송덕비와 마을 앞에 입석 2개가 있다.

ㅇ 시목(枾木)

시목은 500여년 전에 밀양박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고 한다. 뒤에 수원백씨와 능성구씨가 다음으로 한양조씨와 곡부공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곡부공씨 20호, 경주정씨 6호, 광산김씨·울산김씨 5호, 한양조씨 4호, 인동장씨·밀양박씨 3호, 김해김씨·안동권씨·진주강씨·청송심씨 2호, 능성구씨·동래정씨·의령남씨·수원백씨·이천서씨·남양홍씨 등이 89호에 213명이 살고 있다.본래의 마을 이름이 감나무정(쟁)이 이었다. 이는 마을 가운데 큰 감나무가 있고 주위에 감나무가 많았다고 한다. 따라서 순수한 우리말로 감나무정이를 한자로 쓰면서 시목(枾木)으로 표기한 것이다.
인물로는 남면장 공영진, 정보통신부 과장 공연창, 현대건설부사장 공영호, 초등학교장 조흥조, KBS 금산송신소장 조정윤, 군의원 심동섭, 남면농협조합장 공양진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마흥(馬興)

이 마을은 본래 시목리의 6반으로 있던 마을이 1958년 시목에서 분리된 마을이다. 1934년 전주이씨(이원욱)가 처음으로 거주하기 시작하여 1950년 이후에 청주한씨·밀양박씨·영양천씨·서흥김씨·함안조씨·순흥안씨 등이 차례로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형성은 전주이씨 4호, 청주한씨·순흥안씨·밀양박씨·서흥김씨·함양박씨 2호, 영양천씨 등이 22호에 87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은 거무형국이라 하며, 마을 이름을 마흥이라 한 것은 마을 뒷산이 천마봉이고 서쪽 능선이 마산 마령으로 뻗어 있어 말이 일어서야 마을이 좋다고 하여 마흥이라 하였다 한다.문화유적으로 옛날에 목호원(牧虎院)터가 마을 위 저수지 제방근처에 있었다 한다.

ㅇ 중앙(中央)

이 마을은 본래 죽분리에 속했던 마을로 1965년에 죽분에서 분리된 마을이다. 1910년대에 밀양박씨(박도주)가 들어왔으며 1920년대에 신선우가 주조장을 개설하면서 밀양손씨·경주정씨가 차례로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 그후 1942년에 남면지서가 들어오고, 1946년에 분향교회·1963년에 남면농업협동조합·1965년에 남면우체국·1966년에 농촌지도소남부지소·1970년에 장성남중학교·1995년에 남면사무소가 들어오게 되었다. 이로써 남면의 소재지 마을이 되었다. 마을형성은 경주이씨·경주정씨 5호, 김해김씨 3호, 전주이씨·진주강씨·연안차씨·고령신씨·장흥고씨 2호 등 66호에 130인이 살고 있다.
인물로는 국회의원 이국헌, 남면단위농협장 정우용, 광주지방법원 계장 신용수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면장 임면규시혜비와 송은이승비선생공적비, 정순조충의비가 있다.

(3) 녹진리(鹿津里)

녹진리는 본래 남이면의 지역으로 녹진동( 眞洞)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마산리 도림리와 내동면의 영동리 일부 지역을 병합하여 녹진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기존마을인 도림리는 녹진 서북쪽에 있었는데 없어지고, 신흥마을은 본래 마산이었는데 1958년 분리되면서 신흥이라 하였다.현 행정이동으로 녹진 1리는 마산·신흥, 녹진 2리는 녹진으로 하고 있다.

ㅇ 마산(馬山)

마산은 400여년 전에 영광김씨가 터를잡아 살았다 한다. 뒤에 곡부공씨와 금성범씨·진주정씨가 들어왔다. 현재 마을형성은 곡부공씨 13호, 밀양박씨 7호, 청송심씨 7호, 금성범씨 6호, 영광김씨·진주정씨·동래정씨 3호, 광산김씨 2호 등 59호에 160인이 살고 있다.마을형국이 누워 있는 말형국이라하여 마산이라 하였다 한다.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 제내리(堤內里)가 뒤에 마산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일설에는 마을 위에 마장 터가 있는데 이로 인해 마산이라 하였다는 설도 있다.
인물로는 공길환(면장), 육군 소령 심상초, 전국기술자협회장 심상채,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효자공필장정려비각, 효자공도기지비, 효자공도형지비, 심상채공덕비 등이 있다.

ㅇ 신흥(新興)

신흥은 본래 마산마을에 속한 마을로 1958년에 분리되어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새터라 하였는데 한자 표기로 신흥이라 하였다. 1850년경에 처음으로 금성범씨가 터를 잡아 들어오고 뒤에 평택임씨·여양진씨·진주정씨·김해김씨·곡부공씨·전주이씨 등이 들어와 17호에 28인이 살고 있다. 1973년 호남고속도로 개통시 마을의 일부가 편입되어 호수가 줄어들었다. 군도가 마을 뒤로 개통되어 교통이 편리해졌다.인물로는 한국통신 여수전화국장 임한규, 세무서과장 임한풍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녹진(鹿津)

녹진은 500여년 전에 장성서씨와 곡부공씨가 터를 잡고 살았는데 뒤에 의성김씨·밀양박씨·김해김씨·보성선씨·진주강씨 등이 차례로 들어와 마을이 점차 커졌다. 마을형성은 의성김씨 20호, 보성선씨 6호, 김해김씨·밀양박씨 5호, 진주강씨·하동정씨 2호 등 59호에 124인이 살고 있다.풍수지리설에 마을 뒷편이 사슴형국(臥鹿形)이라 하여 녹동이라 하였으며, 마을 아랫편은 옛날에 바다 나루터가 있었다 하여 조동(釣洞)이라 하였다. 두 곳을 합하여 윗 마을의 녹자와 아래 마을의 조자를 나루터진자로 고쳐 녹진이라 하였다 한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녹진동( 眞洞)으로 표기되어 있고, 1912년부터 녹진(鹿津)으로 기록하고 있다. 인물로는 효자 공필장, 의병장 김봉수·김익중·김봉훈·박준기, 3.1독립운동에 참여한 선화룡·선광태·김병선, 남면 면의원 선태식, 장성군 축협장 선재준, 전남교육감 김낙운, 장성교육장 김종련, 목포대 서무과장 김낙영, 판사 선재성, 외교관 김두영, 경찰청 경감 김형열 , 삼도해운 회장 박국일, 협진실업 대표이사 선광호, 진선미화학 대표 김갑주, 심영섭(면장), 심동섭(군의원)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4) 덕성리(德星里)

본래 남이면의 지역으로 둔덕에 있으므로 덕성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회룡리, 신안리, 영산리, 자은리, 풍산리 지역을 병합하여 덕성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된《호구총수》에는 덕성리, 자은곡리, 회룡동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신안리와 영산리는 새로 생기고 풍산리는 자은곡리에서 분리되었다. 영산리는 일제 말에 연산리로 바뀌고, 자은과 풍산은 합하여 자풍이라 한다.
현 행정이동은 덕성1리는 회룡·신안이고, 덕성 2리는 자은·풍산, 덕성 3리는 덕성·연산이다.

ㅇ 회룡(回龍)

회룡은 300여년 전에 청송심씨가 터를 잡아 들어 왔다고 한다. 뒤에 양천허씨·평택임씨가 들어오고, 아래뜸(우산)은 100여년 전에 수원백씨가 들어 왔다고 한다. 현재 마을형성은 양천허씨 7호, 수원백씨 5호, 경주정씨·밀양박씨·의성김씨 4호, 청송심씨·순천박씨 2호 등 32호에 97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회룡고조형국으로 회룡이라 하였다 한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회룡동(會龍洞)으로 기록하고 있다. 덕성 1리로 회룡과 신안을 합하여 회신이라 부르기도 한다. 인물로는 광주시 서동동장 김복식, 남면서교장 김현수, 광주지검 과장 김현묵, 원주경찰서장 범희천, 국회사무처 서기관 임동섭, 숭실대교수 정휘훈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신안(新安)

신안은 150여년 전에 김해김씨와 울산김씨가 들어와 살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한다. 그 뒤 청송심씨·광산김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현재 마을형성은 김해김씨·청송심씨 4호, 광산김씨 3호, 황주변씨·광주정씨 등 14호에 30인이 살고 있다.
마을의 형국은 조리형국이라 하며,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안이라 하였다 한다. 인물로는 남면장 김현남,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김성수, 서울서부경찰서과장 김재영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자풍(自豊)

자풍은 성촌연대는 알 수 없으나 700여년전 이씨터이었다 한다. 그 뒤 봉산이씨와 금성오씨·수원백씨·해주최씨가 차례로 들어왔다고 한다. 현재 마을형성은 금성오씨 12호, 김해김씨 11호, 수원백씨 5호, 밀양박씨 4호, 광산김씨·천안전씨·해주오씨·한양조씨·하동정씨·진주강씨·장흥고씨 2호 등 55호에 174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주머니 형국으로 자랑곡(自囊谷)이라 하였는데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자은곡(自隱谷)리로 기록하고 있다. 1912년에 자은과 풍산(豊山)으로 분리되었다가 1980년대에 자풍으로 통합되었다.
인물로는 남면 면의원 김팔수, 남면국민회장 조형원, 육군대령 오현석, 조선대학교 교수 오수열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덕성(德星)

덕성은 500여년 전에 청송심씨가 터를 잡아 자작일촌을 이루고 살았는데 뒤에 남양방씨·달성배씨·밀양박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청송심씨 13호, 밀양박씨·달성배씨 2호, 남양방씨 등 26호에 71인이 살고 있다. 마을 이름을 본래 덕성(德成)이라 하였다 한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덕성(德星)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는 마을의 주봉이 목성(木星)이라 하여 별성자로 하였다 한다.인물로는 남면장 심상원, 해병 대령 심해택, 장성산림조합장 심상록, 국정원 과장 심상희, 전북대학교 교수 심상욱, 육군 소령 심상필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1924년에 건립한 전면 2칸 측면 2칸의 영풍정이 있다.

ο 연산(連山)

연산은 300여년 전에 김해김씨가 터를 잡아 마을이 형성되었다 한다. 뒤에 나주임씨·청송심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청송심씨 11호, 김해김씨 4호, 나주임씨·광산김씨 3호, 밀양박씨 등 35호에 90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은 와우형국이라 한다. 마을 이름은 본래 영산(永山)이라 하였는데 일제말기에 우연히 연산을 바뀌어졌다. 인물로는 남면 면의원 심상무, 대성초등학교장 심상문, 순천대학교 교수 심명섭 등이 있다.

(5) 마령리(馬嶺里)

본래 남이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서촌리·내마리·외마리·선창리·선평리·백운리·반계리·시정리 지역을 병합하여 마령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흑암리, 고마산리, 내마량리, 외마량리가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1914년 이전에 흑암리(검바우 또는 봉하촌)는 시정 앞 잔등넘어 있었던 마을로 없어 졌고, 고마산리도 선창 앞 안산에 있었던 마을로 없어졌다. 내마량리는 내마리가 되고, 외마량리는 외마리가 되었다. 그리고 서촌리·선창리·선평리·백운리·반계리·시정리가 새로 생겼다. 그중 반계리는 1960년경에 없어졌다.
현 행정이동은 마령 1리는 서촌·내마·외마이고, 마령 2리는 선창·선평, 마령 3리는 백운·시정이다.

ㅇ 서촌(西村)

서촌은 500여년 전에 금성오씨가 살기 시작하였다 한다. 뒤에 김해김씨와 탐진최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탐진최씨 10호, 김해김씨 7호, 금성오씨·광산김씨·천안전씨 2호, 밀양박씨 등 26호에 72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은 복치(伏雉)형국이라 한다. 본래 자은(자랑곡)마을과 같은 마을인데 1914년 세부측량시 법정리 경계가 마을 능선으로 확정됨에 따라 마령리로 편입되면서 자은마을 서쪽에 위치하고 있어 서촌이라 하였다 한다.인물로는 남면 예비군중대장 김선기, 육군대위 김호남, 남면농업협동조합장 김호영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내마(內馬)

내마는 600여년 전에 청송심씨인 심계년이 이곳에 은거하면서 마을이 형성되어 청송심씨 자작일촌을 이루고 살았다. 1900년대에 나주오씨와 함안주씨·여산송씨·청안이씨·장흥고씨 등이 차례로 들어 왔다. 마을 형성은 장흥고씨 6호, 행주기씨·청안이씨·김해김씨 2호, 청송심씨 등 19호에 33인이 살고 있다.마을 뒤 청양산이 말형국이라 하고 마을 앞 말바위가 있어 안쪽을 내마 바깥쪽을 외마라 1912년부터 기록하고 있다. 원래 마을 이름은 마랭이(몰랭이) 인데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내마량리(內馬良里)로 표기하고 있다.
인물로는 감찰어사 심연, 좌승지 심종하, 동복현감 심발, 남면장 기세풍, 장성군의회의원 심동섭, 의학박사 심의철, 초등학교장 기영환, 공군소령 이용산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는 심덕부를 주향하고 심계년과 심연을 배향한 양계사가 있다.

ㅇ 외마(外馬)

외마는 400여년 전에 청송심씨가 터를 잡고 살았으며, 1870년경에 청주한씨가 들어왔고 뒤에 밀양박씨·광주정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청송심씨 6호, 밀양박씨 2호, 광주정씨 등 11호에 24인이 살고 있다.마을 뒤 청양산이 말형국이고 마을 북쪽에 내마 앞의 말바우 밖에 있어 1912년부터 외마로 기록하고 있다. 원래 마을 이름은 외마량(外馬良)으로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 기록하고 있다. 내마와 같이 안 밖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인물로는 단국대학교 교수 심경섭, 강남세무서 직세과장 심정근, 순천대교수 심중선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는 마을 서쪽 통현산에 통현사지가 남아 있다.

ㅇ 선창(船昌)

선창은 200여년 전에 청송심씨인 심홍권이 터를 잡아 들어왔다 한다. 뒤에 상산김씨가 들어오고, 다음에 밀양박씨·양성이씨·수원백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상산김씨 3호, 청송심씨 2호, 양성이씨·수원백씨·밀양박씨·김해김씨 등 11호에 30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배형국이고, 옛날에 이곳이 바다가로 배가 드나드는 선창이 있었다하여 선창이라 하였다 한다. 마을 앞에 고마산리(叩馬山里, 1789년 기록)가 있었는데 1912년 기록에 없어지고 선창, 선평이 새로 생겨났다. 고마산리는 150여년 전에 괴질이 돌아 폐촌이 되었다고 하나 선창과 선평이 고마산리에서 새로 생겨 분리된 마을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인물로는 참봉 심붕지, 심능문, 장성군유도회장 심경택, 전남잠업검사소장 심완택, 송원대학 교무처장 심상호, 광주고검 고검장 심상명, 목사 심덕원, 주택은행 대전지점장 김상욱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선평(船坪)

선평은 200여년 전에 청송심씨가 터를 잡아 형성된 마을로 뒤에 밀양박씨·상산김씨·광산김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청송심씨 9호, 장흥고씨 3호, 광산김씨 2호, 상산김씨·청안이씨 등 24호에 70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배형국이라 하여 마을 안에 샘을 파지 않고 마을 밖에 식수를 이용하고 있다. 옛날에 이곳이 바닷가로 배가 드나드는 선창의 언덕백이라 하여 선평이라 하였다 한다. 마을 앞에 고마산리(叩馬山里, 1789년 기록)가 있었는데 1912년 기록에 없어지고 선평 선창이 새로 생겨 낳다. 고마산리는 150여년 전에 괴질이 돌아 폐촌이 되었다고 하나 선창과 선평이 고마산리에서 새로 생겨 분리된 마을로 보아야 할 것이다.
1947년 남면서초등학교가 이 마을에 세워졌으나 1998년 학생수 감소로 폐교되었다. 인물로는 장성향교 전교 심능구, 남면장 심의현, 전남임업시험장장 심형택, 육군 소령 심영일, 월평초등학교장 이영휴, 한국전력공사 부장 심광일, 동양콤비락사장 김만중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백운(白雲)

백운은 300여년 전에 금성오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고 하다. 뒤에 하남정씨가 들어오고, 이어 제주양씨·여양진씨·김해김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여양진씨·제주양씨 3호, 김해김씨·광산김씨 청송심씨 2호, 금성오씨·하남정씨·전주이씨 등 27호에 69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운중반월형이라 하여 백운동이라 하였다 한다. 1938년 분향공립심상소학교 부설 간이학교가 개설되었으나 1947년 선평으로 옮기었고, 1963년 청양리농업협동조합을 신설하고 창고와 사무실을 건립하였다. 1972년 면단위로 합병 남면농업협동조합 개설로 분점이 되었다. 1985년에 마령보건진료소가 이 마을에 개설되었다. 수리시설로 1944­1945년에 걸쳐 백운제가 시설되므로 들가운데 있던 반계(磻溪)마을은 수해의 위험으로 시정과 선평으로 이주하기 시작하여 1960년대에 완전히 없어졌다. 문화유적으로는 마을 뒤 능선에 8기의 고인돌이 있다.

ㅇ 시정(枾亭)

시정은 300여년 전에 청송심씨와 밀양박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고 한다. 뒤에 여양진씨·행주기씨·김해김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청송심씨·김해김씨 7호, 행주기씨·여양진씨·밀양박씨 등 29호에 70인이 살고 있다.원래 마을이 지금의 남서쪽에 형성되었는데 100여년 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고 한다. 따라서 《호구총수》에 흑암동(검바우 또는 봉하촌)이 시정의 남서쪽에 있었는데 1912년에 시정이 새로 생기고 흑암동이 없어졌다. 이는 흑암동이 없어지면서 시정으로 편입된 것으로 본다. 본래 마을 이름은 감나무가 많아 감남징이라 하였는데 한자로 표기하면서 시정으로 되었다. 인물로는 남면장 박진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
문화유적으로 흑암동과 봉하촌 지역에 원삼국시대의 유물산포지가 있다.

(6) 평산리(平山里)

본래 남이면의 지역으로써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옹점리, 신평리, 장산리, 평산리를 병합하여 평산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평산촌(平山村), 신동리(新洞里), 입자점(笠子店)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입자점은 옹점리, 신동리는 신평리로 이름이 바뀌었고, 장산리가 새로 생겼다. 1990년대에 옹점리는 장평리로 이름을 변경하였다. 1910년 면제 실시에 따라 면소재지로 1914년에 분향리로 옮겨갈 때까지 남이면과 남면의 소재지가 지금의 장평마을에 있었다.현 행정이동은 평산 1리는 장평이고, 평산 2리는 장산, 평산, 신평이다.

ㅇ 장평(長平)

장평은 250여년 전에 전주이씨가 터를 잡아 들어왔다고 한다. 뒤에 신안주씨가 들어와 자작일촌을 이루고 살았다. 중년에 김해김씨·전주이씨·죽산안씨·해주최씨·이천서씨 등이 들어 왔다. 마을형성은 신안주씨 15호, 김해김씨·해주최씨 6호, 전주이씨 3호, 이천서씨·반남박씨·죽산안씨 2호, 한양조씨 등 51호에 160인이 살고 있다.마을 이름을 모발(毛髮)이라 하였는데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 입자점(笠子店)으로 기록하고 있다. 1910년 면제 실시 때 면사무소가 이 곳에 있었으며 이때 옹점이라 하였다가 해방 후에 장산과 통합 장점으로 하였다. 1981년에 장평으로 다시 변경하였다. 1960년대까지 옹기를 생산하였다.인물로는 남면 면의원 주일남, 서울경찰서경감 주동진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장산(長山)
장산은 200여년 전에 이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고 전한다. 바로 뒤에 반남박씨와 광산김씨가 들어왔으며, 중년에 김해김씨·죽산안씨·나주오씨·천안전씨·한양조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광산김씨·김해김씨 4호, 반남박씨·한양조씨·해주최씨·천안전씨·이천서씨·경주이씨 2호, 죽산안씨 등 36호에 87인이 살고 있다.마을이름을 장산이라 한 것은 마령리 서촌에서 백운 장평으로 내려오는 주령이 길고 맨 끝에 위치하고 있어 장산이라 하였다 한다. 해방후 한때 장평과 병합되어 장점이라 하였다가 1981년에 분리 다시 장산이 되었다.
인물로는 육군 소령 박인두가 이 마을 출신이다.

ㅇ 평산(平山)

평산은 300여년 전에 광산김씨가 터를 잡아 자작일촌을 이루고 살아온 마을이다. 근년에 밀양박씨와 해주최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광산김씨 29호, 해주최씨 4호, 밀양박씨 등 47호에 116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세가 평사낙안(平沙落雁)이라 하여 평산이라 하였다 한다. 인물로는 남면 면의원 김천마, 김용구, 보건복지부 과장 김경호, 육군 소령 김경춘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효열수부인수원백씨지비"와 "평우광산김공원주효행비"가 있다.

ㅇ 신평(新坪)

신평은 200여년 전에 광산김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 한다. 뒤에 청송심씨가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 중년에 하남정씨·전주이씨·나주임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청송심씨 5호, 광산김씨 2호, 전주이씨·하남정씨·나주임씨 등 11호에 40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은 조리형국이라 하고 마을 앞동산을 연화도수(蓮花倒水)형국이라 한다. 마을 이름이 1789년에 간행한《호구총수》에 신동(新洞)으로 기록하고 있다. 1910년에 신평으로 바뀌었다. 일명 어덕밑이라 하여 "엉떠러지기"라고도 하였다.
인물로는 광주지방법원장 심의섭이 이 마을 출신이다.

(7) 행정리(杏亭里)

본래 남이면의 지역으로써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검정리, 행정리, 승가리, 송정리를 병합하여 행정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검정리(檢亭里)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행정리와 승가리·송정리가 새로 생겨난 마을이다. 그러나 송정리는 일제말기에 없어졌다. 현 행정이동은 행정 1리는 행정, 승가이고, 행정 2리는 검정이다.

ㅇ 행정(杏亭)

행정은 300여년 전에 양성이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고 한다. 뒤에 광산김씨와 행주기씨가 들어왔다. 중년에 안동김씨와 여흥민씨가 차례로 들어오고, 근년에 여산송씨와 청안이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광산김씨 8호, 양성이씨·행주기씨 3호, 밀양박씨 2호, 청안이씨·여산송씨·진원박씨 등 26호에 74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수레차형국이라 하여 수레에 짐을 실으면 내려야 하는 것과 같이 부자가 되면 옮겨야 한다는 설이 있다. 마을 이름은 살구나무가 집집마다 있어 행정이라 하였다 한다. 인물로는 남면 면의원 김일호, 교회 목사 이종택이 이 마을 출신이다. 문화유적으로는 백제석실고분이 정자고개 옆에 있다.

ㅇ 승가(升加) (신거무)

승가는 200여년 전에 마을이 형성되었다 하나 토착 성씨가 없어 알 수 없다. 이천서씨가 4대를 거주하고, 근년에 여산송씨·함풍이씨·순창설씨·풍천노씨·광산김씨·남양홍씨·행주기씨·나주임씨 등이 차례로 들어 왔다. 마을형성은 이천서씨 6호, 함풍이씨 5호, 행주기씨·전주이씨·남양홍씨·광산김씨 3호, 풍천노씨·하동정씨·전주최씨·나주임씨 2호, 순창설씨·천안전씨 등 42호에 112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은 무중와우(霧中臥牛) 또는 초중와독(草中臥犢)이라 하여 소형국으로 본다. 마을 이름이 본래 신거무이다. 신거무장(시장)과 신거무다리의 전설로 알 수 있으며 이 신거무장은 지금의 비아장으로 옮겨갔다. 인물로는 광주지방법원 민사과장 이재우, 장원초등학교장 기복호, 해군중령 이문행, 육군소령 이도행, 사법고시 합격한 임창헌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는 말 무덤이라 하는 백제고분과 신거무 다리가 있었던 곳에 다리 재료인 돌을 세워 2개의 입석이 승가교 양편에 세워져 있다.

ㅇ 검정(檢亭)

검정은 본래 청송심씨의 텃자리로 전해온다. 400여년 전에 양성이씨인 이증(李增) 처외가인 진사 심백붕의 연고로 들어와 자작일촌으로 12대를 살아 온 마을이다. 근년에 외손인 광산김씨와 밀양박씨가 들어와 살고 있다. 마을형성은 양성이씨 20호, 광산김씨 3호, 밀양박씨·경주최씨 2호, 청송심씨 등 30호에 70인이 살고 있다.마을은 본래 열두 동네로 이루어진 마을이라 한다. 지금도 서당동, 학동, 사장등, 저벙골, 검바우, 시성골, 광검, 새터라는 지명으로 그들 마을의 흔적이 전해온다. 서당동에서 돌도끼, 치마골에서 화살촉이 발견되어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이고, 2기의 고분(말 무덤)과 여러 기의 석실분(돌방 무덤)이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백제 때도 중요한 지역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마을 앞 사장등에 군사 훈련장인 활터가 있었다고 전하며, 서당동과 저벙골에서는 무문토기와 백제토기, 고려청자, 조선백자가 출토되는 고분이 많아 수 천년의 역사를 간직한 마을이다.구전에 의하면, 검사하는 정자가 있어 검정이라 하였다고 한다. 또한 마을은 배형국이라 하여 집안에 샘을 파지 않는 풍습도 전해 온다.인물로는 장락원정을 지낸 이증, 무과에 급제한 이선량·이병두, 장성국민회장 이근우, 제2군수지원사령관 육군소장 이연신, 광주민속박물관장 이종일, 전남대학교 교수 이형종, 장흥 장동초등학교장 박경호, 광주전신전화국 기계계장 이정규, 한국복장협회 광주 전남지부장 이종채, 연천석재 사장 이봉구, 동원상사 사장 이재철, 한국정보통신 사장 이종해, 전남수영연맹 회장 이관웅, 한국통신 마케팅국 과장 이종식, 인하대학교 강사 김상채가 이 마을 출신이다.
문화유적으로는 양성이씨 제각 추원재와 영모재가 마을 앞·뒤에 있으며, 쪽박등에 백제고분이 있다.

(8) 월정리(月汀里)

본래 남일면의 지역으로써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정리, 월계리, 월산리, 우치리, 신아산리를 병합하여 월정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안청리, 비아리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월정(불정)리와 우치리·궁산(월산)리·만동리·월계(구례)리가 새로 생겨난 마을이다. 그러나《호구총수》의 비아리는 비아면으로 안청리는 하남면으로 편입되었다. 비아리의 일부가 신아산리로 새로 생겼다.현 행정이동은 월정 1리는 불정, 새터이고, 월정 2리는 월계, 우치, 신아산이며, 월정 3리는 월산이다.

ο 불정(佛汀)

불정은 200여년 전에 청송심씨가 참새골과 서당골에 터를 잡고 살다가 현재 마을로 옮겨왔다고 한다. 뒤에 행주기씨·의령남씨·전주이씨·광산김씨·순천박씨·경주김씨가 차례로 들어왔고, 근년에 양성이씨·양천허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전주이씨 9호, 청송심씨 6호, 행주기씨·광산김씨 4호, 의령남씨 3호, 양성이씨·경주김씨 2호, 양천허씨·순천박씨 등 44호에 111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운중반월이라 하여 월정이라 하였는데 일제시에 마을 뒤에 부처바위가 있어 불정으로 고쳤다 한다. 인물로는 남면 면장 기치섭·기기옥, 장성경찰서 경무과장 기유섭, 육군대령 기세원·기세갑·김영수, 판사 심명구, 아세아자동차 과장 김석주, 대신생명 소장 남재욱, 레스링 국가대표선수 이기춘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문화유적으로는 1849년에 세운 이승례부사선정비가 있다.

ㅇ 새터

새터마을은 100여년 전에 함평이씨가 들어와 터를 잡고 살았는데 뒤에 장수황씨·행주기씨·전주이씨가 차례로 들어왔고, 해방 후에 광산김씨·순천박씨·반남박씨·전주최씨·고령신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광산김씨·함평이씨·전주이씨 2호, 고령신씨·행주기씨·순천박씨·반남박씨·전주최씨·경주이씨 등 13호에 32인이 살고있다. 마을이 새로 생겨 새터라 하였다. 1960년대까지는 불정에 속했다가 10호가 넘어 분리되어 새터로 독립되었다.인물로는 광양대학교수 이동건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월계(月溪)

월계는 100여년 전에 김해김씨인 김치문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였다. 바로 뒤에 밀양박씨가 들어왔고 일제시대에 문화유씨·창영조씨가 들어왔다. 해방 후에 수원백씨·영광정씨·경주이씨가 차례로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 형성은 밀양박씨 5호, 김해김씨 4호, 수원백씨 2호, 경주이씨·창영조씨·문화유씨·영광정씨 등 19호에 59인이 살고 있다.마을 이름이 본래 구례 또는 시네거리라 하였다. 옆 마을 우치가 소형국으로 이곳은 소의 구레에 해당된다 하여 구례라 하였다 한다. 마을이 커짐에 따라 해방 후에 월계로 부르게 되었다. 이는 월정리의 시네거리를 따라 월계하고 우치마을을 편입하였다. 1980년대에 다시 우치로 분리되었다.인물로는 조선대학교 교수 조종기, 적십자병원 의사 조종덕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우치(牛峙(治))

우치는 100여년 전에 연안차씨인 차두순이 비아에서 들어와 살았다 한다. 같은 시기에 진주강씨가 들어 왔고 이어 함안조씨가 들어와 마을이 형성되었다. 마을형성은 밀양박씨 4호, 김해김씨 3호, 함안조씨 2호, 연안차씨·나주오씨·파평윤씨·하남정씨·장수홍씨 등이 14호에 41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소형국으로 본래 소치라 하였는데 한자로 우치라 하였다. 일제 시에는 월계마을이 우치에 속하였는데 해방후 월계가 커짐에 따라 월계에 합하였다가 1980년대에 다시 분리하여 우치(牛治)라 표기하고 있다.
인물로는 군산대학 교수 차정남, 공군 준장 차정렬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신아산(新牙山)

신아산은 130여년 전에 김해김씨와 광산김씨가 처음으로 터를 잡아 들어왔다 한다. 다음에 인동장씨·옥천조씨·청주한씨가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김해김씨 5호, 옥천조씨 3호, 밀양박씨·진주정씨 2호, 광산김씨·경주김씨·인동장씨·청주한씨·진주강씨 등이 22호에 58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나는 가마귀 형국으로 상아산 하아산을 비아리라 하는데 새로 생긴 마을이라 신아산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비아리는 광산에 편입되고 신아산은 장성에 남게 되었다. 일제시에 이곳에 과수원이 형성되어 일본인이 2호가 거주하기도 하였다.
인물로는 전남대학교 교수 조동산·조동섭, 산부인과 의사 조동을, 충주병무청 과장 장상옥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월산(月山)

월산은 120여년 전에 광산김씨인 김기영이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였다 한다. 같은 시기에 파평윤씨와 진주강씨가 들어왔으며, 일제시에 전주이씨·연안차씨·탐진최씨·장수황씨·여양진씨·동복오씨·김해김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연안차씨 9호, 파평윤씨·탐진최씨 8호, 김해김씨 3호, 장수황씨·전주이씨·진주강씨·밀양손씨·여양진씨 2호, 금성나씨·동복오씨·장성서씨·장흥고씨·현풍곽씨·광산김씨 등이 48호에 131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쌍가마(釜)형국으로 쌍가촌이라 하였는데, 뒤에 궁산(弓山)이라 하였다. 일제시 일본 총무대신 이름이 궁산이라 하여 쓰지 못하게 해서 월산으로 부르게 되었다 한다.인물로는 법무부 차관 김영천, 남면 면의원 차기동, 장성군의회 의장 최남호, 동신 대학교 교수 조병기, 조선대학교 교수 윤관중, 공인회계사 최윤호, 해남경찰서 과장 윤세중, 현대화재 미국지사장 최갑필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참봉강상운시혜비와 의당민영관시혜비가 있는데 마을에 토지를 희사해 마을에서 세웠다.

(9) 삼태리(三台里)

본래 남일면의 지역으로써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태리, 서태리, 중태리, 지촌리를 병합하여 삼태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동태리, 중태리 서태리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지촌리는 새로 생겨난 마을이다. 1983년에 지촌마을은 광주시 오룡동에 편입되었다.현 행정이동은 삼태 1리는 서태이고, 삼태 2리는 중태이며, 삼태 3리는 동태이다.

ㅇ 서태(西台)

서태는 400여년 전에 진원박씨가 터를 잡아 들어왔다고 한다. 뒤에 나주임씨와 나주나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나주임씨 26호, 진원박씨 18호, 나주나씨·광산김씨 3호, 장흥고씨·남평문씨 2호, 영천이씨·행주기씨·창영조씨·곡부공씨·이천서씨 등 68호에 166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삼태성의 별자리에 해당하는데 서쪽에 있는 별자리라 하여 서태라 하였다 한다. 또한 저울대 형국이라 하여 중앙 축을 중태로 보고 서태가 흥하면 동태가 쇠하고, 동태가 흥하면 서태가 쇠한다고 한다
인물로는 남면면장 임면규, 헌법위원회 비서관 박중보, 비아 우체국장 나철수, 육군중령 박철현, 서울대학교 교수 임광훈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박풍환의 처 전주이씨 효열각·효열부진주강씨행적비·농암박공명환기적비·서원재·송석당 등이 마을 안에 있다.

ㅇ 중태(中台)

중태는 400여년 전에 진원박씨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여 자작일촌을 이루고 1900년대까지 살았다. 뒤에 광산이씨·광산김씨·덕수이씨·나주나씨 등이 차례로 들어 왔다. 마을형성은 진원박씨 16호, 광산김씨 6호, 덕수이씨 4호, 나주임씨 3호, 나주나씨·문화유씨·광산이씨·김해김씨 2호, 장흥고씨·행주기씨·밀양박씨·파평윤씨·도래정씨·한양조씨·청주한씨·보성선씨 등이 54호에 138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삼태성의 별자리에 해당하는데 가운데 있는 별자리라 하여 중태라 하였다 한다. 또한 삼태를 저울대 형국이라 하여 중태를 가운데 축으로 본다. 인물로는 국회의원 이종남, 대주건설사장 김익중, 육군소령 임정채·김영덕, 아남산업 소장 박종현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 고려말 충신 130인의 위패를 봉안하였던 경현사지가 있다.

ㅇ 동태(東台)

동태는 300여년 전에 진원박씨가 터를 잡아 살기 시작하여 마을이 형성되었다. 뒤에 홍주송씨가 들어오고, 근대에 황주변씨 평택임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 형성은 진원박씨 9호, 홍주송씨·울산김씨 6호, 인동장씨·광산이씨 3호, 현풍곽씨·황주변씨·탐진최씨·진주하씨·평택임씨 등이 45호에 105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삼태성의 별자리에 해당한다 한다. 동쪽에 있는 별자리라 하여 동태라 하였다 한다. 또한 저울대 형국이라 하여 중앙 축을 중태로 보고 서태가 흥하면 동태가 쇠하고, 동태가 흥하면 서태가 쇠한다고 한다. 그리고 마을형국을 운중반월형으로 보는 설도 있다.
인물로는 연산초등학교장 박홍주, 육군 중령 김혁수, 서울병무청 사무관 박영주, 광주시 동구 총무국장 박혁주, 남면 면장 박남주, 전남염업조합장 김창수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10) 월곡리(月谷里)

본래 남일면의 지역으로써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월곡리, 신촌리, 덕촌리, 금리와 평촌리 일부를 병합하여 월곡리라 해서 남면에 편입되었다. 그러나 1789년 간행한《호구총수》에는 신촌리, 득양산리만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월곡리와 금리는 1900년대에 새로 생겨난 마을이다. 그리고 안평마을은 1980년대에 덕촌에서 분리되었다가 2000년대에 다시 합병되었다.현 행정이동은 월곡 1리는 월곡, 금리이고, 월곡 2리는 덕촌, 안평이며, 월곡 3리는 신촌, 금월이다.

ㅇ 월곡(月谷)

월곡은 100여년 전에 수원백씨인 백윤명이 처음으로 터를 잡아 들어왔다 한다. 바로 뒤에 나주임씨와 진원박씨가 들어오고, 이어 남양홍씨·금성정씨·행주기씨·김해김씨·전주이씨·경주이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나주임씨 13호, 금성정씨 9호, 진원박씨 6호, 전주이씨 5호, 밀양박씨·남양홍씨 4호, 광산김씨 3호, 행주기씨·김해김씨·수원백씨 2호, 죽산안씨·경주이씨·천안전씨·청주한씨·보성선씨·장흥마씨 등이 59호에 171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반월형이라 하여 월곡이라 하였다는 설과 옛날 마을 입구에 다리가 있어 다리골이라 부르다가 달골로 변하여 한자로 월곡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인물로는 서울 신광여중교장 김금룡, 장성군축산협동조합장 임종성, 남면장 박중대·임팔도, 전라남도의원 임인철, 영화감독 임권택, 조선대학교 교수 박길현, 공주대학교 교수 임종태, 장성군경영기획실장 정우익, 서울경찰청 경감 홍덕기, 의사 박화현·박흥현, 해상화재보험 과장 김형호, 변호사 임채윤, 광주시교육청 사무관 임유택, 부산검찰청사무관 박요현, 서울경찰청 경위 홍범기, 전남경찰청 경정 한재숙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
효부임상규처진원박씨비각이 마을 입구에 있다.

ㅇ 금리(錦里)

금리는 100여년 전에 선산곽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 한다. 뒤에 행주기씨가 들어왔으며, 일제시에 탐진최씨·한양조씨·김해김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진주강씨·울산김씨 2호, 김해김씨·회진임씨·한양조씨·창영조씨·탐진최씨 등이 9호에 16인이 살고 있다.마을 일제시에 금광이 생겨 마을이 형성되어 처음에는 금리(金里)라 하였는데 마을 뒤에 비단바위가 있어 금리라 하였다 한다. 인물로는 한국외환은행 과장 김상균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덕촌(德村)

덕촌은 500여년 전에 문경전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고 전하나 확실한 것을 알 수 없다. 뒤에 수원백씨가 들어왔다. 근대에 전주이씨·밀양박씨·조양임씨·한양조씨·천안전씨·청주한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전주이씨·하동정씨 10호, 김해김씨 9호, 조양임씨 6호, 밀양박씨 4호, 경주정씨 3호, 수원백씨·청주한씨·한양조씨 2호, 진주강씨·곡부공씨·행주기씨·개성왕씨 등이 73호에 182인이 살고 있다.
마을 형국이 배형국이라 하여 마을에 샘을 파지 않았다 한다. 본래 마을 이름은 득양산(得良山)이라 하였다. 이는 이곳에 득양원(院)이 있어 득양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덕촌으로 표기하였다. 인물로는 장성군양잠협동조합장 정동익, 순천시 과장 정환갑이 이 마을 출신이다.

ㅇ 안평(雁坪(安平))

안평은 60여년 전에 천안전씨인 전재풍이 덕촌에서 이거하여 살았는데 1960년대에 김해김씨·진주강씨·장흥고씨·광산정씨·광산김씨 등이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천안전씨 3호, 광산정씨·광산김씨 2호, 김해김씨·전주이씨·진주강씨·울산김씨 등이 11호에 35인이 살고 있다. 마을은 본래 덕촌에 속한 하촌이라 하였는데 1980년대에 자연마을로 분리하면서 옛날에 이 곳이 바닷가로 기러기가 놀던 곳이라 하여 안평이라 하였다 한다.

ㅇ 신촌(新村)

신촌은 500여년 전에 해주오씨가 터를 잡아 살았다 한다. 뒤에 장성서씨·창영성씨·상산김씨·김해김씨·광산김씨·여주이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해주오씨 5호, 창영성씨·김해김씨·밀양박씨 4호, 광산김씨·상산김씨·진주강씨·수원백씨·여주이씨 2호, 장성서씨·금성정씨·탐진최씨·장수황씨·청송심씨·양성이씨 등이 41호에 97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이 '노서하전(老鼠下田)형'이라 한다. 새로 생긴 마을이라 신촌이라 하였다 한다. 일명 '화전(火田)들'이라고 하는데 이는 이 곳이 천수답으로 한해가 들면 농사를 지을 수 없었는데 지금은 담양호 물이 들어와 수리안전답이 되었다.
인물로는 한국통신 부장 성길효, 한국통신 과장 성신효, 군농협 과장 박광호, 의사 김용철 등이 이 마을 출신이다.문화유적으로는 마을 주민이 세운 전참봉강상운시혜비가 마을에 있다.

ㅇ 금월(錦月)

금월은 1940년대에 김해김씨인 김재국이 평촌에서 이거해 왔다. 뒤이어 장흥고씨·밀양박씨가 들어 왔고, 해방 후에 남원양씨·홍주송씨·담양전씨가 차례로 들어왔다. 마을형성은 함양박씨·홍주송씨·남원양씨·전주이씨·진주강씨·담양전씨·평강채씨·여양진씨 등이 13호에 23인이 살고 있다.마을 형국은 평촌과 같이 와우형국으로 본다. 마을 이름을 금월이라 한 것은 본래 금리에 속했다가 뒤에 신촌에 속하여 신금이라 하였다. 1980년대에 자연마을로 분리하면서 월곡리에 속한 금리라 하여 금월로 표기하였다. (이종일)



[표8-3] 남면 마을·세대·인구(2001. 6. 30현재)

남면 마을·세대·인구 - 행정리, 자연마을명, 세대수, 인구수(계, 남, 녀), 비고 제공 표
행정리자연마을명세대수인구수비 고
25리45 마을1,6394,2772,0962,181
분향 1분향, 매향121342169173
분향 2죽분111339 167172
분향 3시목, 마흥111300147153
분향 4중앙661306367
녹진 1마산, 신흥761889395
녹진 2녹진 59 1246064
덕성 1회룡, 신안461276265
덕성 2자은, 풍산551748688
덕성 3덕성, 연산611617883
마령 1서촌, 내마, 외마561296267
마령 2선평, 선창351005149
마령 3백운, 시정561396772
평산 1장평511607981
평산 2장산, 평산,신평94243120123
행정 1행정, 승가681869096
행정 2검정 30703337
월정 1불정, 새터571437073
월정 2 월계, 우치, 신아산551587583
월정 3 월산481316368
삼태 1서태681668284
삼태 2중태 541386969
삼태 3동태451055154
월곡 1월곡, 금리781879295
월곡 2덕촌, 안평84217109108
월곡 3신촌, 금월541205862
QR CODE
  •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정보무늬는 『제2장 마을유래 192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제2장 마을유래 페이지 바로가기 주소(https://www.jangseong.go.kr/q/ezIzMDd8MTkyfHNob3d8fQ==&e=M&s=3), QRCODE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