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로고

국가상징 국무회의 알아보기

제2장 마을유래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5차 메뉴 정의

제8절 서삼면

원본파일 다운로드

(1) 연혁

ο 용흥리에서 지석묘와 이형반월형돌칼이 발견되었고 백제때 고시이현에 속하였다.
ο 영조 25년(1759) 서삼면의 인구는 490호 1,563명이고 정조 13년(1789)에는 534호 1,687명 이었으며 백치리·증암리·하괴리·대곡리·세포리·모암리·주암리·하평리·임곡리·신산리·갈전리·길주리·대제리·여고리·하신리·신기리·외연리·내연리·축서리 20개 마을이 있었다.
ο 1914년 행정구역 개편당시 다음과 같이 7개 리 36개 마을이었다. 장산리(장산·임곡·신기·외연), 송현리(상평·해평·여암·중평·신주암·내연·공평), 모암리(모암·주암), 대덕리(세포·대덕·둔덕), 추암리(축서·백련·동괴·서괴·망월·송암·증암·백치), 금계리(봉연·여고·신평·금평·모평), 용흥리(용전·연산·태암·길주·대제·흥양)
ο 1930년 북일면 공평마을이 서삼면으로 편입되었다.

(2) 장산리(莊山里)

장산리는 서삼면 소재지로 신기·외연·고장산·덕산·임곡 5개 마을로 구성되었다.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임곡리·신기리·외연리 1912년의 [행정구역일람]에는 외연리 둔덕리·장산리·신기리·임곡리가 나온다. 1914년에 장산리·임곡리·신기리·외연리를 합하여 장산리라 하였으며 신기마을에 면사무소를 설치했다.

ㅇ 신기(新基)

호구총수(1789년 발간)에도 기록되어 있으며 외연에서 옮겨와 새로 형성된 마을이다. 200여년전 김해김씨가 들어온 후 밀양박씨·진주강씨·의령남씨·전주최씨·장수황씨·창원황씨·김녕김씨·남평반씨가 차례로 들어와 해방 후 20여호가 살다가 6·25때 3명이 죽고 관공서와 민가가 모두 불에 탔다. 이듬해 다시 복구하여 30여호가 되었는데 전주이씨·진천송씨·청주한씨·밀양손씨·행주기씨·울산김씨 등이 들어와 호수가 늘었다가 지금은 35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새로 생긴 마을이라 하여 신기라 했다. 인물 : 박병우(초등교장)·기노해(초등교장)·기노근(면장)·김대철(마포구청국장).

ㅇ 외연(外硯)

약 400년전 남평반씨가 내연에서 들어오고 임진왜란때 잠시 피난왔던 진천송씨가 몇 년후 다시 들어왔다. 그뒤 밀양손씨·전주이씨·울산김씨·동래정씨·김해김씨·울산김씨가 들어왔으며 해방 후에 행주기씨·고령신씨가 6·25후에 황주변씨·남평문씨·죽산오씨·한양조씨가 들어왔다. 해방 후 53호가 살다가 6·25때 8명이 죽고 가옥 대부분이 소각되었다. 그후 45호가 정착했는데 40호로 줄었다. 동명유래 : 마을 뒷산이 벼루형국이다. 인물 : 송구(진천송씨 낙남조 공조좌랑)·송영순(성균박사)·김요덕(면의회의장)·반승환(면장)·반재현(면장)·반재이(면장)·신수환(면장)·반영준(육군대령)·반상진(의학박사)·김홍중(통일주체대의원)·김영백(초등교장)·반강진(군의원)·이중백(한말의병). 반삼길(육군준장). 유물유적 : 연호사(硯湖祠)터(주벽 송구).

ㅇ 고장산(古莊山)

약 200년전 울산김씨, 100여년전 행주기씨가 들어온 뒤 광산김씨·조양임씨·전주이씨·김해김씨·행주기씨가 들어오고 6·25후 전주최씨·해주오씨가 들어왔다. 일제때 20여호였으며 6·25때 3명이 죽고 전가옥이 소각되었다 그후 20여호가 다시 살다가 현재 25호이다. 동명유래 : 1912년 기록에 둔덕리로 나오는데 신선이 북치는 소리가 '둥덩둥덩'난다 하여 둥덩뫼라 하다가 둔덕으로 표기했다고 하며 덕산으로 변했다. 인물 : 김기주(항일운동)·김기철(항일운동, 초등교장)·김종수(항일운동)·김보연(서삼면장)·기우홍(광주체신청장)·기우진(부산역장)·기우철(초등교장)·기병도(의학박사)·김용대(면장).

ㅇ 임곡(林谷)

서삼면사무소가 처음 이 마을에 있었다. 500여년전 흥덕장씨가 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320여년전 울산김씨가 들어오고 그뒤 동래정씨·장성서씨·김해김씨·전주이씨·광산김씨·밀양박씨·청주한씨·함평이씨·광산이씨·평산신씨·하동정씨가 들어왔다. 일제때 53호였으며 6·25때 전후 65명이 죽고 3호 외 전가옥이 불탔다. 다시 50여호까지 살았는데 현재는 31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숲이 있어야 마을이 흥한다고 하여 주변의 숲을 보호하고 동명도 숲실(임곡, 林谷)로 부른다고 한다. 인물 : 김영관(해군대령)·김한영(동양화가)·김동일(서울중구청장)·김동현(육군중령)·김우영(영문학 박사)·박래정(대학교수 박사)·김영풍(광주시청사무관).

(3) 송현리(松峴里)

송현리는 내연·초곡·해평·공평·여암·상평으로 이루어졌다. 1789년 [호구총수]에는 상평리·내연리·중방리(공평)가 나오며 1912년 기록에는 해평리·내연리·신주암리·중평리(초곡인듯함)·상평리·여암리·공평(당시 북일면)이 나와 있다.

ㅇ 내연(內硯)

약 500년전 남평반씨가 들어와 자자일촌하였다. 그뒤 해남윤씨·인동장씨·천안전씨·남평문씨·진천송씨·동래정씨·전주이씨·광산김씨·청주한씨·연안차씨 등이 들어와 일제 때 53호였는데 38호가 살다가 6·25를 만나 전후 11명이 죽었으나 가옥은 소각되지 않았다. 그후 광산정씨·밀양박씨·전주이씨·연안차씨가 들어와 40여호가 되었는데 현재 21호로 줄었다. 동명유래 : [너쟁이]라고도 부르며 뒷산(벼루형국)에서 유래되었다. 인물 : 반재선(면장)·반재형(체신부 서기관)·반성진(군의원).

ㅇ 초곡(草谷)

1912년 기록에 중평리로 기록되어 있다. 원래 마을 서북쪽 고랑이 푸실(초곡)인데 이곳에 진천송씨 제각이 들어선 이후 마을 전체를 푸실로 부른다고 한다. 150년전 울산김씨가 들어온 후 여러 성씨가 들어왔는데 해방후 울산김씨·남평반씨·고령신씨·밀양박씨·진천송씨·연안이씨·행주기씨·천안전씨 등 18호가 살다가 6·25때 9명이 죽고 가옥 2호가 소각되었다. 이듬 해 14호가 정착했는데 현재 16호가 살고 있다. 인물 : 김달중(면장)·반삼모(체신부 사무관)·송재식(신학박사).

ㅇ 해평(海坪)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하평리로 1912년 기록에는 해평과 신주암리로 기록되어 있다. 담양국씨 20여호가 살다가 100여년전 모두 떠났다는 구전이 있다. 밀양박씨가 230여년전에 광산김씨가 200여년전에 들어온 후 울산김씨·수원백씨·남평반씨·경주최씨·진천송씨·보성선씨·장흥고씨·하동정씨·이천서씨·김해김씨 등이 들어와 42호가 살다가 6·25때 10여명이 죽었으나 가옥피해는 없었다. 현재 29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원래 하평이라 하였는데 구한말 성균관박사 송영순의 사랑채에 당시 군수 김성규가 [해동거사]라는 액자를 써붙인 후 해평으로 부르게 되었다. 또 신주암은 주암사람이 이사와 살면서 마을이 배형국이라 붙인 이름이다. 인물 : 송영순(성균관 박사)·송규락(송박사 아들, 대구세무서장)·송종근(송규락 아들, 항일운동)·김기수(축협장)·고광악(초등교장).

ㅇ 공평(共坪)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북일면 중방리로 1912년 기록에는 북일면 공평으로 나오는데 1930년 서삼면으로 편입되었다. 천안전씨가 8대째 살고 있으며 달성배씨·장성서씨·강능유씨·광산김씨가 차례로 입향하였다. 일제때 20여호가 살다가 6·25때 1명이 죽고 가옥이 전소되었다. 10여호가 다시 들어와 현재 9호가 살고 있다. 마을 주변에 쇠부릿점터가 남아 있다.

ㅇ 여암(呂岩)

백제시대 토기가 나왔다는 설이 있으나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염씨가 살았다는 구전이 있으며 밀양박씨 뒤에 보성선씨가 200년전에 입향했다고 한다. 그후 창녕성씨·하동정씨가 들어오고 일제때 장흥고씨·달성배씨·행주기씨가 들어와 25호가 살다가 6·25때 4명이 죽고 피난갔다가 20호가 들어왔는데 몇 호는 떠나고 김해김씨·이천서씨·광산김씨 등이 들어와 12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숫돌바위가 있어 [여(礪)암]이라 하다가 여(呂)암으로 변했다. 인물 : 선종남(육군대령)·정순익(향교전교)·정순걸(북이면장)·선종락(장성읍장).

ㅇ 상평(上坪)

1789년의 [호구총수]에는 나오지 않는데 보성선씨가 300년간 살았다고 한다. 그후 이천서씨·평택임씨·여산송씨·광산김씨·김해김씨가 들어와 31호가 살다가 6·25때 1명이 죽고 가옥피해는 없었다. 그후 천안전씨·김해김씨·전주이씨가 입향했으며 24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탑정이]라 부르다가 하평위의 마을이라 하여 상평으로 부르고 있다. 인물 : 선정규(항일의병).

(4) 모암리(慕岩里)

모암리는 주암·모암·금점 마을로 이루어졌다. 1789년의 [호구총수]에 모암리(慕岩里)와 주암리(朱岩里)가 나오며 금점은 모암의 한 뜸이었다가 근래에 분리된 것 같다.

ㅇ 주암(舟岩)

밀양박씨가 임진왜란 직후 입향했으며 광산김씨·상주주씨·금녕김씨·여산송씨가 오래동안 살고 있다. 그 후 금산김씨·광산승씨·탐진최씨·밀양손씨·여양진씨·울산김씨·전주이씨·수원최씨·진주소씨·연안차씨·남평문씨 등이 들어와 82호가 살다가 6·25때 25명이 죽고 가옥이 소각되었다. 4년후 마을이 복구되고 김해김씨·광산이씨·은진송씨·전주최씨·진주정씨·금성나씨·해주최씨·창녕조씨 등이 들어와 70여가 살았으나 40여호로 줄었다. 동명유래 : 마을이 배형국이라 주암이라 했다고 한다. 인물 : 박성(밀양박씨 입향조, 김제거주시 장성남문창의 가담)·문영채(서삼면장)·박대기(육군중령)·김재귀(성남 시장).

ㅇ 모암(慕岩)

고려고종때 서능선생이 용못뜸에서 초당을 짓고 학동을 가르쳤다는 말이 전해오고 선조 20년(1587) 장성군 최초의 서원(모암서원)이 있었던 마을이다. 350년전 금녕김씨가 입향하였으며 그후 전주이씨·울산김씨·하동정씨가 들어오고 몇 개 성씨가 거쳐갔다. 일제때 60여호가 살다가 6·25때 가옥이 전소되고 많은 사람이 입산하여 죽었다. 40여호가 다시 정착하고 순흥안씨·밀양손씨·홍주송씨·진주정씨·이천서씨·천안전씨가 들어왔으나 현재 20여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유래는 알 수 없고 용쏘절벽에 고려때 서능선생이 새겼다고 전하는 [모암(慕岩)]이라는 각자가 있다. 인물 : 김상세(육군대령)·김량(초등교장)·김영(경감)·이형연(고등교장). 유적 : 모암칠현단(모암서원터에 1909년 설단).

ㅇ 금점(金店)

모암에서 분리된 마을인 것 같다. 북당골에 인가가 먼저 형성되었다고 하는데 쇠부릿점이 있었고 10여호가 살았으며 6·25후에도 이씨·심씨가 살다가 떠났다. 돼지박골에도 5호가 있었고 6·25후에도 2호가 살다가 떠났다. 공근이골에는 임란 때 공씨가 살았다는 말이 전하며 1884년 천주교 공소가 있었다. 금녕김씨가 150년전에 옮겨 왔으며 전주이씨·회진임씨·밀양박씨·한양조씨·창녕조씨·김해김씨가 들어와 해방 후 18호가 살다가 6·25때 7명이 죽고 전호가 소각되었다. 피난 후 몇 집만 드러오고 진주강씨·연안차씨가 새로 들어와 4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쇠점]이 있어 금점으로 표기한 것 같다.

(5) 대덕리(大德里)

대덕리는 세포·대곡·덕평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1789년 발간된 [호구총수]에는 대곡리·세포리(世飽里)만 나오고 1912년 [행정구역 명칭일람]에 덕평리·대곡리·세포리(細布里)가 나온다. 1917년 [조선면리동일람]에는 세포리·대곡리·둔덕리(현 장산리 덕산)·주암리 일부를 병합하여 대덕리라 했다고 적혀 있고 덕평은 송현리에 기록되어 있다.

ㅇ 세포(細布)

약 450년전 밀양박씨가 입향하였으며 100년전에 창원정씨가, 일제때 광산김씨·전주이씨·남평반씨가 들어와 40여호가 살았는데 6·25때 8명이 죽고 1호외 전가옥이 소각되었다. 다시 마을을 복구하고 광산김씨·김해김씨·한양조씨·문화유씨 등이 들어왔으나 현재 20여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호구총수 : 1789년]에는 세포(世飽)로 나온다. 무래봉하에 '옥녀직포'혈이 있어 세포라 했다고 한다. 인물 : 박형철(면장)·박형재(초등교장, 훈장)·박형남(체신부 서기관)·박형국(1급토목기사, 엔지리어링 사장).

ㅇ 대곡(大谷)

임진왜란때 남평문씨가 피난와서 정착했다고 하며 김씨가 거쳐가고 150여년전 문화유씨가 들어왔다. 행주기씨·장흥고씨가 살다가 떠났으며 구한말에 남양홍씨·전주이씨, 일제때 울산김씨·옥천조씨·동래정씨·이천서씨·남원방씨·청송심씨가 들어오고 해방후 고령신씨·순천박씨·한양조씨·밀양손씨가 들어와 80여호가 살다가 6·25때 10여명이 죽고 전가옥이 소각되었다. 다시 마을을 복구하고 전주이씨·광산이씨·경주이씨 등이 들어왔으나 현재는 40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큰 고랑에 있는 마을이라 하며 한실(대곡, 大谷)이라하며 황룡면 아치실은 한실과 대칭개념으로 아곡(소곡; 小谷)으로 부른다고 한다. 인물 : 고광용(서삼면장)·고광식(고교교장)·문동배(조합장)·김재엽(고등교장). 유적 : 덕천사지(德川詞, 1822년 건립·1868년 훼철·문익점·기효근·이실지·최철윤 배향).

ㅇ 덕평(德坪)

140여년전 울산김씨와 행주기씨가 들어왔으며 일제때 전주이씨·경주이씨·김해김씨·밀양박씨·최씨·황씨가 들어왔다. 한때 23호까지 되었으나 현재 14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들가운데 있는 배형국이라하여 둔덕(屯德)이 덕평으로 변했다고 한다. 인물 : 기우증(교육장)·기우대(경찰서장·전교)·김한영(동양화가).

(6) 추암리(鷲岩里)

추암리는 백치·증암·송계·괴정·백련 마을로 이루어졌다. 1789년 발간된 [호구총수]에 백치리·증암리·하괴정·축서리가 나오며 1912년 [행정구역 명칭일람]에는 백치리·망월리·백련리·송암리·증암리·동괴리·서괴리가 기록되어 있다.

ㅇ 백치(白峙)

국민학교 뒤 도로변과 마을밭에 17C 전반경의 도요지가 있고 호구총수(1789)에 나오는 것을 보면 오래된 마을이다. 밀양박씨가 살다가 떠났으며 110여년전 김해김씨·광산김씨, 일제때 창녕조씨·남양방씨, 1920년대에 경주정씨·곡부공씨가 들어왔다. 해방 후 13호가 살다가 6·25때 12명이 죽고 전호가 소각되었다. 지금은 김해김씨·광산김씨 등 8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흰꿩, 배의 키 등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으며 골재에 백토(고령토)가 많아 백치라 했다는 설이 있다.

ㅇ 증암(甑岩)

풍산홍씨가 성촌하여 밀양박씨와 울산김씨가 살았다는 구전이 있으며 약 400년전 동래정씨가 들어왔다고 한다. 150년전에 여양진씨가 들어온 후 능성구씨·광산승씨·광산김씨·김해김씨가 들어오고 일제때 상주주씨·함평이씨·선산김씨·전주이씨, 그리고 해방후에 전주최씨·한양조씨·밀양박씨가 들어왔다. 해방 후 50여호가 살다가 6·25때 5∼6명이 죽고 가옥이 전소되었다. 5년후부터 마을을 복구하여 48호가 조성되었는데 김태원 이철형의병이 연습하고 2진으로 나누어 출병했다. 동명유래 : 마을 동북쪽에 '시루바위'가 있어 '시라우'라 하다가 증암으로 바뀌었다. 인물 : 진경선(광주시 서구 주택과장)·김연수(의정부시 회계과장)·오성현(한말의병).

ㅇ 송계(松溪)

1912년 [행정구역 명칭일람]에 송암리(松岩里)와 망월리(望月里)가 기록되어 있는데 망월리는 7호(진주하씨 3·박씨 2·진주강씨 1·청송심씨 1)가 살다가 6·25전 반란군의 은신처가 된다고 소개시킨후 폐촌되었다. 송암은 현 송계인데 순흥안씨가 9대째(약250년) 살고 있으며 100년전 황주변씨·김해김씨가, 일제때 동래정씨 등이 들어와 30여호가 살다가 여순반란군에게 10여명이 죽고 6·25때 5∼6명이 죽었다. 전 가옥이 소각되었으나 3년후부터 대부분 다시 들어오고 전주이씨·평산신씨·서산정씨·광산김씨·영월신씨·경주정씨 등이 새로 입향했는데 현재는 10호가 살고 있다. 이 마을은 1905∼6년경 기삼연대장이 은거하면서 의병을 창설한 곳이다. 인물 : 변수원(한말의병, 기삼연대장의 연락병).

ㅇ 괴정(槐亭)

큰뜸(서괴)에 임진왜란 때 선산김씨가 들어왔으며 작은뜸(동괴)에도 또다른 선산김씨가 살았다고 하는데 서괴는 20호 정도가 살다가 1920년대에 폐촌되었다. 순창설씨가 300년전에 들어왔으며 100여년전에 김해김씨·밀양박씨·파평윤씨가 들어오고 일제때 김해김씨·화순오씨 등이 해방후 한양조씨 등이 들어와 13호 정도가 살다가 6·25때 6명이 죽고 마을이 전소되었다. 3년후 돌아와 20여호가 막치고 살았으며 금성나씨 등이 들어왔는데 현재 12호가 살고 있다. 1907. 10. 4∼6일 까지 김용구 의병이 있다가 통안리 봉동으로 옮겼으며 이듬해 2. 23∼27에도 의병이 주둔했다. 동명유래 : 홰나무가 있고 모정이 있어 괴정이라 했으며 1927년의 지도에 서괴리·동계리로 나와 있다. 인물 : 오동열(전주 병무청장).

ㅇ 백련(白蓮)

백련동은 축서와 백련이 합해졌으며 백련은 큰뜸·작은뜸·살막이 있었는데 큰뜸은 11호(파경윤씨 8·김씨 3), 살막은 3호(전주이씨 1·김씨 2)가 살다가 6·25때 폐촌이 되었다. 축서와 작은뜸 일원은 고려 때 건립된 것으로 전하는 축서사(鷲棲寺)터라고 한다. 축서는 행주기씨가 5대째 살고 있으며 작은뜸에는 7∼8호(한양조씨 2·전주이씨 1·평산신씨·김씨·오씨 등)가 살다가 6·25때 모두 떠나고 그후 경주김씨·철원주씨·고성장씨 등이 들어와 6호가 거주하고 있다. 여순사건 때 7명이 죽고 6·25때 전 가옥이 소각되었다. 동명유래 : 호구총수(1789년)에는 축서리로 나오며 1912년 기록에는 백련리로 나온다. 축서는 축서사에서 백련은 백련암에서 유래된 것 같다. 인물 : 기형도(서삼면장)·기노근(서삼면장)·기노열(농지개량조합장)·기노해(초등교장)·기관서(장성군의회의장). 유물유적 : 축서사터(절이 임진왜란 이후까지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 당간지주·연자방아·부도옥개석·석탑제 등이 남아 있다.)·묘현사(원래 관불암이 있었으나 6·25때 소각되어 1967년 다시 세웠다.).

(7) 금계리(錦溪里)

금계리는 신평·금평·여고·봉연으로 구성되었다. 1789년에 발간된 [호구총수]에 신산동(新山洞)·여고리(礪古里)·하신리(下新里)가 기록되어 있고 1912년 [행정구역 명칭일람]에는 봉연리·신평리·여고리·금평리·모평리가 나온다.

ㅇ 신평(辛坪)

마을 앞 논가운데 남평문씨가 성촌했다는 모평(茅坪)이 있었는데 해방되던 해 3호가 살다가 없어졌다. 250여년전에 들어온 울산김씨의 동족마을이다. 중간에 몇 개 성씨가 거쳐갔고 구한말에 경주이씨·일제때 광산김씨가 들어왔다. 해방후 47호가 거주하다가 6·25때 9명이 죽었으나 가옥피해는 없었으며 면소재지가 불에타 이곳에 임시 면사무소가 설치되고 여러 마을 피난민이 함께 살기도 했다. 그후 전주이씨·전주최씨·밀양손씨가 들어와 40여호가 살았으나 34호로 줄었다. 동명유래 : 마을 뒤 엉골이 와우형이며 앞들을 소먹이인 풀밭으로 보아 모평 또는 신평이란 동명이 생겼다고 한다. 인물 : 김봉환(삼호학숙개설·인재육성·항일투쟁·뒷산을 불일대라명명·전국훈장추서)·김상중(서양화가)·김희중(육군중장)·김철환(면장)·김효증(면장)·김판중 (면장)·김정수(조합장)·김국태(도의원)·김기익(면장)·김석중(박사)·김준(행정고시합격).

ㅇ 금평(錦坪)

150년전 울산김씨가 들어온 후 청주한씨·김해김씨·전주최씨 등이 들어와 해방 후 20여호가 살다가 6·25때 3명이 죽었으나 가옥피해는 없었다. 나주정씨·의령남씨·인동장씨·밀양손씨 등이 들어오고 몇 호가 떠났으나 20여호가 유지되다가 이농현상으로 10호가 살고 있다. 마을유래 : 울산김씨 진호가 벼슬을 하여 비단옷을 입었다하여 금평이라 했다고 한다. 인물 : 김진호(고종때 홍문관 교리).

ㅇ 여고(呂古)

의령남씨가 오랫동안 살다가 6·25직후 모두 떠났으며 연안이씨도 오래 살았다고 한다. 170여년전 전주최씨가 들어왔으며 일제때 울산김씨·진원박씨·창녕조씨·밀양손씨가 들어오고 해방후 의성김씨·금녕김씨·순흥안씨·밀양박씨·행주기씨가 들어와 30여호가 살다가 6·25때 11명이 죽었으나 가옥피해는 없었다. 그 후 장수황씨·동래정씨·진주정씨가 들어와 25호가 되었으나 지금은 18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호구총수 : 1789년]에는 '여고(礪古)'로 나와 있는데 '여고(呂古)'로 바뀌었다. 의령남씨 선산이 여우혈이고 마을 뒤 여고개(여우고개)에서 비롯되었으며 한때 '호연(狐淵)'으로도 불렀다고 한다. 인물 : 김후생(도의원)·김동일(서울 중구청장).

ㅇ 봉연(鳳淵)

임진왜란때 남문창의 맹주 오천 김경수 선생이 태어난 마을로 1789년의 [호구총수]에 신산동으로 기록되어 있다. 옛 일은 알 수 없고 150여년전에 광산이씨와 문경송씨가 입향하였고 그뒤 울산김씨·밀양박씨·한양조씨·전주이씨·조양임씨·광산김씨·남양홍씨가 들어와 해방 후 32호가 살았는데 6·25때 18명이 죽고 전 가옥이 소각되었다. 마을이 복구되어 30여호가 들어오고 경주정씨 등이 입향했으나 현재 11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원래 '새뫼골' 새악골로 부르고 신산동(新山洞)으로 표기하다가 마을 주변에 비봉포난형이 있다고 하여 봉연으로 바꿨다 한다. 인물 : 이희찬(황룡면장)·이희전(서삼면장)·김상종(동국대교수)·이일석(중등교장)·이대원(면장).

(8) 용흥리(龍興里)

용흥리는 대제·흥양·태암·용전·연산마을로 이루어졌다. 1789년 간행된 [호구총수]에는 갈전리·길주리·대제리가 나오며 1912년 [행정구역 명칭일람]에는 흥양리·길주리·용전리·태암리가 나온다.

ㅇ 대제(大堤)

마을 뒷산에서 백제시대 것으로 보이는 토기와 석기가 출토되었다는 말이 있다. 250여년전 경주김씨가 들어온 후 김해김씨·수원백씨·의령남씨가 들어오고 일제 때 진주정씨·청주한씨 해방후에 전주유씨·황주변씨 등이 들어와 50여호가 살다가 6·25 사변을 만나 50여명이 죽었으나 가옥피해는 없었다. 그 뒤 울산김씨·천안전씨·김녕김씨·삼척김씨·진원박씨 등이 들어왔으나 도시로 많이 떠나가 35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호구총수 : 1789년]에도 [대제리]로 나오는데 옛부터 저수지가 있어 [제촌]이라 부르다가 [대제]라 했다한다. 인물 : 남기승(도청국장).

ㅇ 흥양(興陽)

약 200년전 금성오씨가 살다가 홍수피해를 입고 장성읍 기산리로 떠났다는 구전이 있으며 약 100년전 파평윤씨가 들어온 후 고령신씨·장흥고씨·김해김씨·해주오씨가 들어오고 해방후 회진임씨 등이 들어와 15호가 거주하다가 6·25때 3명이 죽었다. 그후 전주유씨·황주변씨·순창설씨 등이 들어왔으나 지금은 11호가 살고 있다. 유물유적 : 석송대(석탄 이기남과 송강 정철이 노닐던 곳).

ㅇ 태암(台岩)

태암은 동뫼·개동(가야동·원태암)·길주리(지주) 3뜸으로 이루어졌다. 마을에 지석묘가 있고 [호구총수 : 1789년]에도 길주리가 나온다. 오래 전에 박씨와 한씨가 살다가 떠난 후 양씨가 살았다는 구전이 있으며 170년전 울산김씨가 들어온 후 100년전 장흥고씨가, 그후 한양조씨·전주최씨·광산김씨·진주강씨·금녕김씨·경주이씨·능성구씨·청송심씨·창녕조씨·평산신씨·장수황씨 등이 들어와 50여호가 살다가 6·25를 만나 8명이 죽었다. 그후 김해김씨·탐진최씨·함평이씨·수원백씨·금성오씨·회진임씨가 들어왔으나 타지로 많이 떠나가 34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큰바위(지석묘)가 있어 태암이라 부른다.

ㅇ 용전(龍田)

일제때 갈전(葛田)과 연산(蓮山)을 합하여 용전이라 하였다. 갈전은 호구총수(1789년)에도 나오며 안뜸·대밭뜸·시가우등으로 나뉜다. 170여년전 행주기씨가 들어온 후 전주이씨·남원양씨·안동권씨가 들어와 20여호가 살았는데 6·25때 16명이 죽었으며 가옥피해는 없었다. 그후 무송윤씨 등이 입향하였으나 현재 6호로 줄었다. 연산은 150년전 남원양씨가 들어온 후 이천서씨·전주이씨가 들어와 17호가 살다가 6·25때 12명이 죽었다. 그후 광산김씨·무송윤씨·양천허씨·진주강씨 등이 들어왔으나 13호가 살고 있다. 동명유래 : 연화도수혈에서 연산이 유래했다. 인물 : 기한도(MBC기자)·강성문(축협조합장).

[표 8-8] 서삼면 세대수·인구수 현황 (2001. 5. 1 현재)

서삼면 세대수·인구수 현황 - 리명, 마을명, 세대수, 인구수(계, 남, 여), 비고 제공 표
리 명마을명세대수인구수비 고
장산 1리신기351508070
외연40984850
장산 2리임곡31452619
덕산25352114
고장산51165
송현 1리내연21492425
초곡16221012
송현 2리해평29754233
공평9271512
송현 3리여암719108
상평39974948
모암 1리주암431115358
모암 2리모암351045747
금점41275
대덕 1리세포24533023
대덕 2리대곡431487276
덕평15371918
추암 1리백치14321616
증암30945143
추암 2리송계20552926
괴정30422616
백련9362511
금계 1리신평34754035
금평18683533
금계 2리여고2152328
봉연111381622
용흥 1리대제35823943
흥양19674126
용흥 2리태암481025646
연산10452619
갈전19533023
317572,0201,022998
QR CODE
  •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정보무늬는 『제2장 마을유래 197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제2장 마을유래 페이지 바로가기 주소(https://www.jangseong.go.kr/q/ezIzMDd8MTk3fHNob3d8fQ==&e=M&s=3), QRCODE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