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성군 로고

국가상징 국무회의 알아보기

제2장 임업.축산

  • 트위터
  • 페이스북
  • 구글
  • 현 페이지 엑셀로 다운
  • 현 페이지 워드로 다운
  • 현 페이지 인쇄
4차 메뉴 정의
5차 메뉴 정의
  • 머릿말
  • 1. 주요가축의 사육두수
  • 2. 주요 축종별 사육농가호수
  • 3. 가축 방역 실적
  • 4. 가축 도살현황
  • 5. 가축 시장

머릿말

원본파일 다운로드

인류가 야생동물을 사육하여 가축으로 기르기 시작하기는 신석기시대 이후부터라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산업적으로 그 성격이 변모한 시대는 확실치 않다. 시대적으로 보아 군용과 교통용으로 말의 사육이 번창한 때가 고려조였으며 각 지방에 관영목장을 설치하여 집단사육을 제도화하여 수감을 그 고을 수령이나 만호 에게 겸임시킨 것은 조선조 초엽이었다.

농경에 우력을 사용한 첫기록은 502년(신라 지증왕3) 처음으로 우경을 하였다는 기록이 있어 삼국시대부터 우력을 이용한 농경이 있었다는 것을 짐작할수 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역우의 사육을 장려하여왔고 도살도 제한하고 우역방지와 치료에 힘썼다고 한다. 경국대전에는 조선왕조 제9대 성종때 일반농경과 병행하여 축산에도 역점을 두어 우, 마, 돈, 당나귀, 닭, 거위, 꿀벌 등을 장려하고 이를 사육하는데 국가에서 그 용지까지 제공하였다.

1908년(융희2년)의 통계에는 전국의 축우수가 45만두에 달하였다고 하니 농가부업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농가부업의 영역에서 맴돌던 축산이 근래와서는 많은 지식과 선진국 경제구조의 영향을 받아 기업적인 축산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현재 국민의 경제성장과 소득의 향상으로 육류의 공급원인 축산물 수요가 급증되어 우리생활에 현저한 변화를 가져왔다. 축산물 1인당 소비량은 1965년 소고기 1.0kg, 돼지고기 1.9kg, 닭고기 0.5kg, 계란 30개에서 1997년에는 소고기 7.9kg, 돼지고기 15.3kg, 닭고기 6.1kg, 계란 189개, 우유 53.3ℓ로 각각 소고기 7.9배, 돼지고기 8.05배, 닭고기 12.2배 계란이 6.3배가 증가하여 계속하여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가축사육동향을 보면 한우는 1965년 1,325천두에서 1997년에는 2,594천두로 젖소는 7천두에서 553천두로, 돼지는 1,382천두에서 6,461천두로 닭은 11,893천두에서 85,779천두로 증가하였다. 이와같은 추세에 따라 다량의 축산물 생산이 요청되어 있어 정부는 1968년부터 축산진흥의 특별한 정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으며, 광대한 외화를 소비하면서까지 각종의 우량품종, 유우, 육우, 종돈, 종계 등이 도입되어 이제는 대규모의 기업축산도 상당수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축산규모가 대체적으로 사육규모의 영세성, 관리의 기술부족, 구입사료에 의한 의존심, 수익성의 불안정으로 아직도 본궤도에 오르지 못한 실정이다. 더욱이 축산발전의 진도에 비례하여 항상 안정세를 이루지 못하고 가치성의 변동, 수요량에 따른 경기의 차이가 격감하고 이로 인한 가축수의 증감이 극히 민감한 편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급격한 수출신장으로 인하여 국제간의 무역자유화의 진전과 더불어 농축산물에 대한 수입개방압력이 두드러지게 강화되어 있고, 특히 중국에서의 축산물 유입에 대해서는 국내 농축산물의 이에 대한 다양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다. 더우기 수입개방에 따른 완벽한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의 축산은 앞으로 험난한 어려움이 있으리라 예상되는 바이다. 본 군에서는 천혜적으로 양질의 목초자원이 풍부할 뿐 아니라 생산된 축산물을 다량 소비할 수 있는 대도시(광주광역시) 근교에 위치하고 있어 축산물의 생산단지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한편 축산물의 공정한 거래질서의 유통을 위해 가축시장의 원활한 운영에도 각별한 힘을 기울이고 있는데, 군내 가축시장은 연간 8,553두 이상의 한우가 매매되고 이들 가축을 인근 상무대에 군납사업을 통한 다량출하로 소득을 올리고 있다.

한편 관내 3개 도살장을 통폐합하여 황룡도축장을 개설하고 시설 근대화로 보다 효율적이며 주민에 육류공급과 이용에 활성화를 기함은 물론, 도축장 현대화 시설로 인한 장성, 담양, 곡성 군등 전남 북부권 도축물량 확보와 신선한 육류공급등의 기대효과 및 도축물량을 유치하여 1일 소 100두, 돼지 200두를 도살하여 2000년부터 가동하여 세수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장성군의 축산업은 자연적 여건인 풍성한 토지와 기후풍토가 축산에 가장 적합할 뿐 아니라 입지적인 혜택까지 입어 국민보건에 기여하는 육류공급에서 일역을 담당하고 있으나, 앞으로의 축산업이 유망한 산업의 하나가 되기 위해서는 축산물의 수급과 가격 안정제도의 정착, 축산업의 구조개선, 축산물 유통체계의 개선 정착, 사료의 원활한 공급, 가축의 위생, 방역강화, 축산단체의 기능활성화 등이 있어야하며, 사육규모의 확대 및 시설자동화로 국제경쟁력을 제고시키고 수입개방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비 절감 및 양축농가의 경영안정을 도모하며 농업의 전체적 구도와 동일하게 친환경적, 관광자원화와 연계된 축산으로 발전시켜 농가소득증대에 기여하도록 하고, 수입개방에 대한 철저한 국내 축산업 보호조치가 더욱 시급한 실정에 이르렀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1. 주요가축의 사육두수

원본파일 다운로드

우리나라의 한우 사육두수는 1965년 1,325천두에서 1975년 1,556천두, 1985년 2,553천두, 1995년에는 2,594천두이었고 젖소는 1965년에 7천두, 1975년에 86천두, 1985년 390천두, 1995년에 553천두이었다. 돼지는 1965년에 1,382천두, 1975년, 1,247천두, 1985년에는 2,853천두, 1995년에는 6,461천두였고, 닭은 1965년 11,893천수, 1975년 20,939천수, 1985년 51,081천수, 1995년에 85,799천수에 이르고 있다.

[표 4-44]에는 장성의 주요 축종별 사육두수를 나타내고 있다. 한우는 1960년 3,464두에서 1965년 6,295두, 1970년 6,709두, 1975년 7,943두, 1980년 8,162두, 1985년 18,663두, 1990년 10,694두, 1995년 19,498두, 1999년 14,792두로 과거 40년간 4.3배 증가하였고 지역별로는 장성읍에서 2,583두, 북이면에서 2,343두로 많은 한우를 사육하고 있었고, 젖소는 1961년 2두가 도입되어 사육하기 시작하여 1970년에 5두, 1975년에 389두, 1980년에 867두, 1985년에 2,187두, 1990년에 2,490두, 1995년에 19,498두, 1999년에 1,412두로 진원면에서 688두, 북일면에서 278두, 북이면에서 263두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는 1960년대 14,461두에서 1965년 13,157두, 1970년 7,729두, 1975년 6,074두, 1980년 8,156두, 1985년 8,752두, 1990년 11,498두, 1995년 24,305두, 1999년에 29,179두로 장성읍에서 7,884두, 서삼면에서 5,206두, 북일면에서 4,021두, 북하면에서 3,246두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닭은 1960년 122,942수에서 1965년 233,070수, 1970년 96,042수, 1975년 72,814수, 1980년 68,714수, 1985 년 50,392수, 1990년 88,056수, 1995년에 193,098수, 1999년에 301,642수를 나타냈으며 삼서면, 146,198수, 황룡면, 77,751수, 삼계면, 60,743수를 사육하고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산양은 1960년 1,453마리, 1965년 2,482 마리, 1975년에 1,140마리, 1980년 1,282마리, 1985년 1,458마리, 1990년 1,479마리, 1995년 2,063마리, 1999년에 2,951마리로 나타났고, 사슴은 1985년에 101마리, 1990년에 164마리, 1995년에 665마리, 1999년에 2,776마리를 사육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토끼는 1960년 6,808마리, 1965년에 23,750마리, 1975년에 8,426마리, 1980년 4,165마리, 1985년에 4,461마리, 1990년 1,561마리, 1995년 2,776마리, 1999년에 7,236마리로 나타났고 오리는 1960년에 2,760마리, 1965년에 2,938마리, 1970년 3,263마리, 1975년에 13,638마리, 1980년에 16,129마리, 1985년에 10,175마리, 1990년에 10,421마리, 1995년에 38,320마리, 1999년에 18,293마리이며 북일면, 5,523마리, 동화면 5,020마리로 많이 기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꿀벌은 1960년 1,076통에서 1965년 10,083통, 1975년 1,241통, 1980년 1,553통, 1985년 2,787통, 1990년 6,676통, 1995년 7,990통, 1999년에 5,791통을 보여주었고 북하면 1,529통, 장성읍 1,300통, 동화면 662통 순으로 많은 꿀벌을 기르고 있었다.

[표 4-44] 주요 가축의 사육두수 현황 (단위 : 마리)

주요 가축의 사육두수 현황 - 한우, 유우, 돼지, 닭, 산양, 사슴, 토끼, 오리, 굴벌, 거위 제공 표
한우유우돼지산양사슴토끼오리굴벌(통)거위
19603,464-14,461122,9421,453-6,8082,7601,076350
19656,295813,157233,0702,482- 23,7502,93810,083194
19706,70957,72996,042- - - 3,263- -
19757,943389 6,07472,8141,140- 8,42613,6381,241341
19808,1628678,15668,714 50,3921,282- 4,16516,1291,553325
198518,6332,1878,75288,0561,4581014,46110,175 2,787112
199010,6942,49011,498193,0981,4791641,56110,4216,67634
199519,4982,86024,305 301,6422,0636652,77638,3207,99023
199914,9721,41229,1799,7212,9511,6357,23618,2935,79124
장성2,583- 7,8842529432241,4334311,300-
진원1,4736889189811082957435746-
719 231871,113 55414592,050487-
동화74377173146,1982971133815,020662-
삼서1,4094525060,743381011283,04047-
삼계1,401351,85077,751139239278249 319-
황룡1,076- 2,8101,928275801,36170327916
서삼1,51435,20624332396216985416-
북일833278 4,0211,414- 961,1125,523412-
북이2,3432632,6341,298322171- 408 294-
북하873-3,246 4511791,1251271,5292

자료 : 장성군 통계연보, 1965, 1970, 1975, 1983, 1985, 1990, 1996, 2000

2. 주요 축종별 사육농가호수

원본파일 다운로드

[표 4-45]에는 주요 축종별 사육농가호수를 제시하였다. 한우는 1975년 7,101호에서 1980년 5,416호, 1985년 7,516호로 최고를 보이다가 1990년 4,408호, 1995년 4,160호, 1999년에는 2,765호로 줄어드는 추세를 보여 한우의 사육목적이 농경에 이용하는 것보다 육우로서의 기능을 더해가고 있는 현상을 보여주었고, 이에 따라 사육두수가 대규모화 되는 것을 반영한 결과로 생각된다. 젖소는 1975년 33호에서 1980년 126호 1985년 318호로 최고를 보이다가 1990년 232호 1995년 168호 1999년에는 61호로 사육농가 호수가 줄어드는 것을 보여주었다.

돼지의 농가호수에도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었는데 1975년 4,608호로 호당 1.32마리를 사육하던 것이 1980년 2,995호 1985년 1,016호 1990년 371호 1995년 138호 1999년 75호로 1999년에는 호당 389마리를 사육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업축산농으로 단지화, 대규모화되는 것을 알수 있었다. 닭의 사육농가 호수를 보면 1975년에 7,115호, 1980년에 6,570호 1985년에 4,476호 1990년에 1,139호로 줄어들었고 1995년에는 580호, 1999년에는 653호로 줄어들었고 호당사육마리수는 1975년에 10.23마리였던 것이 1999년에는 462마리로 대규모화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양의 사육농가 호수를 보면 1975년에 772호이던 것이 1980년 867호 1985년 700호 1990년 198호 1995년 277호 1999년 255호를 보여주었고, 사슴은 1985년에 8호 1990년에 22호 1995년에 77호 1999년에 127호로 늘어났고 이는 사슴의 수요가 녹용 및 건강식품으로 많이 애용되어지는데 따른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토끼의 사육농가호수를 보면 1975년에 2,522호 1980년 1,339호 1985년에 721호 1990년 257호 1995년에 169호 1999년에 214호로 변화되어 왔으며, 오리의 경우 1975년 2,425호 1980년 3,021호 1985년 1,392호 1990년 467호 1995년 207호 1999년 165호로 사육 호수는 줄어들었지만 호당 사육마리수는 1975년 5.6마리이던 것이 1999년에는 111마리로 늘어난 것을 볼 수 있고, 오리의 경우 최근 환경농업의 일환인 오리농법의 대규모 단지가 삼계면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되는데 사용하는 경우도 있어 알이나 고기의 공급원이 아닌 다른 측면에서의 이용 가능성도 충분히 있는 가축으로 각광받고 있다. 거위의 경우 1975년에는 164호, 1980년 159호, 1985년 53호, 1990년 13호 1995년 9호 1999년 5호로 점차 감소추세에 있어 이는 다른 고기의 수입 및 공급원이 늘어남에 따른 추세일 것으로 생각한다.

한편 각 지역별 사육농가 호수를 보면 1999년 한우의 경우 장성읍이 421호 삼계면이 340호 북이면이 337호를 보여주었고, 유우의 경우 진원면이 28호에서 688마리를 사육하고 있고 다음이 북이면에서 14호에서 263마리 북일면이 10호에 278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돼지의 경우 장성읍이 17호에 7,884마리를 다음으로 북하면이 8호에서 3,246마리를 삼계면, 북이면, 황룡면에서 7호에 각각 1,850마리, 2,634마리, 2,810마리를 사육하고 있으며, 서삼면과 북일면에서는 5,206마리와 4,021마리를 사육하고 있어 대규모화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최근에는 축산폐기물의 처리가 문제점으로 부각하여 공해방지시설에 대한 지원 및 축사시설의 자동화 및 현대화로 사육환경을 개선해야 할 문제와 사료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대책마련 등이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나타나고 있다.

닭의 경우 장성읍이 106호에 9,721마리, 삼서면이 38호에 146,198마리, 삼계면이 13호에 60,743마리, 황룡면이 47호에 77,751마리를 사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꿀벌은 북하면이 101호에 1,529통, 장성읍이 71호에 1,300통을 사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4-45] 주요 축종별 사육 농가호수

주요 축종별 사육 농가호수 - 연도별읍면별, 한우, 유우, 돼지, 닭, 산양, 사슴, 토끼, 오리, 굴벌, 거위 제공 표
연도별읍면별한우유우돼지산양사슴토끼오리굴벌(통)거위
19757,101334,6087,115772-2,5222,425284164
19805,4161262,9956,570867- 1,3393,021295159
19857,5163181,0164,47670087211,39232853
19904,4082323711,1391982225746761113
19954,160168138580277771692075099
19992,76561756532551272141653825
장성421- 171067116503971-
진원21928829131826672
196257622428222-
동화1653355258181028-
삼서274113820817185-
삼계3401713141916431-
황룡220- 7472292111232
서삼2252687144142039-
북일17410631- 168427-
북이337147904017- 3538-
북하194-88114816161011

자료 : 장성군 통계연보, 1965, 1970, 1975, 1983, 1985, 1990, 1996, 2000

3. 가축 방역 실적

원본파일 다운로드

장성군의 수의사는 1965년 6명에서 1978년에는 14명으로 늘었고 1999년에는 10명으로 직종별로는 공수의 5명, 개업수의 2명, 학교 1명, 기타 2명이였고 10명 전부 국내 대학졸업 이상의 자격을 득하였다.

[표 4-46]은 가축방역실적을 제시하였는데 1980년에 탄저, 기종저 예방주사를 8,079두, 돈콜레라 27,786두, 광견병 459두였고 1985년에는 탄저, 기종저에 10,791두, 돈콜레라 19,964두, 광견병 392두였고 기타 9,199두였으며 1990년에는 탄저, 기종저가 5,315두, 돈콜레라 7,461두, 광견병 289두였고 기타는 없었으며 1995년 방역두수는 탄저, 기종저 4,890두, 돈콜레라 6,890두, 광견병 4,854두, 기타 15,436두였으며 1999년에는 탄저, 기종저 3,200두, 돈콜레라 9,600두, 광견병 7,000두였으며 기타는 14,000두였다. 최근에는 광우병이나 20년 동안 우리나라에서는 발생된 적이 없었던 구제역이 유럽에서부터 발병하여 세계 어느 지역에나 번질 수 있는 위험이 있으므로 그 어느 때보다 이에 대한 방역 및 예방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며, 특히 일본 등에 수출하는 돼지고기의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대책마련에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표 4-46] 가축 방역 실적 (단위 : 마리)

가축 방역 실적 - 연도별, 탄저·기종저, 돈콜레라, 광견병, 기타 제공 표
연도별탄저·기종저돈콜레라광견병기타
19808,07927,786459-
198510,97119,9643929,199
19905,3157,461289-
19954,8906,8904,85415,436
19993,2009,6007,00014,000

자료 : 장성군 통계연보, 1965, 1970, 1975, 1983, 1985, 1990, 1996, 2000

4. 가축 도살현황

원본파일 다운로드

1975년의 소의 도살두수는 3,980두에서 생체량은 753,171kg으로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189.24kg이었고, 돼지는 3,246두의 도살을 실시하였고, 1980년에는 소가 548두에 생체량은 201,481kg으로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367.67kg이었고, 돼지는 2,409두에 239,803kg으로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99.54kg으로 나타났고 1985년에는 소가 667두에 271,925kg으로 생체두당평균중량은 407.68kg이었고 지육량은 144,461kg으로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216.58kg이었고 돼지는 4,977두에 생체량은 468,951kg이었고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65.95kg이었으며 1990년 소의 도살두수는 2,810두, 생체량은 1,205,842kg,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429.13kg이었고 지육량은 602,921kg으로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214.56kg으로 나타났고 돼지 도살두수는 4,189두, 생체량은 372,757kg이며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88.98kg이며 지육량은 186,379kg으로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44.49kg이었다.

1995년 소의 도살두수는 3,842두, 생체량은 2,076,240kg,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540.41kg, 지육량은 1,141,932kg,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67.83kg이었다. 1996년 소의 도살두수는 3,777두, 생체량은 1,977,285kg,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523.51kg, 지육량은 988,643kg으로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261.75kg으로 나타났다. 돼지도살두수는 10,939두에 생체량은 1,012,594kg,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92.57kg, 지육량은 637,934kg으로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58.32kg이었다. 1997년 소의 도살두수는 3,398두였고 생체량은 1,820,732kg으로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535.82kg, 지육량은 920.366kg으로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270.86kg이었고 돼지도살두수는 9,205두, 생체량은 839,238kg이었고 생체두당 평균중량은 91.17kg이었고 지육량은 528,720kg, 지육두당 평균중량은 57.44kg을 보여주었다.

1998년, 1999년의 도살실적은 없는데 이는 기존 도축장(장성읍 기산리)이 국토확포장시설지구로 편입되어 새로운 도축장을 황룡면 월평리에 설치하여 도축장 현대화로 인근 장성, 담양, 곡성 등 전남 북부권 도축물량 확보와 신선한 육류를 공급하고 가축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타시도 반출여건이 용이하도록 하여 1999년 12월 29일 완공되어 폐수배출시설 및 방지시설을 가동개시하여 하루 소 100두, 돼지 200두를 도축하여 년간 도축세 10억의 지방세 확충효과를 볼수 있도록 하였다.

[표 4-47] 가축 도살 현황

가축 도살 현황 - 연도별, 소(두수, 생체량, 지육량), 돼지(두수, 생체량, 지육량) 제공 표
연도별돼 지
두수생체량지육량두 수생체량지육량
19753,980753,171-3,246--
1980548201,481-2,409239,803-
1985667271,925144,4614,977468,951328,231
19902,8101,205,842602,9214,189372,757186,379
19953,8422,076,2401,141,9327,172715,457486,510
19963,7771,977,285988,64310,9391,012,594637,934
19973,3981,820,732920,3669,205839,238528,720
1998- --- - -
1999------

자료 : 장성군 통계연보, 1965, 1970, 1975, 1983, 1985, 1990, 1996, 2000

5. 가축 시장

원본파일 다운로드

1977년 축산법에 의하여 개설된 가축시장은 전국에 514개소에서 가축의 중개가 이루어져 왔는데 가축시장 및 중개인수는 현저히 감소하고 있다. 기계화 영농의 도입과 가축의 사용목적이 육우중심으로 변하여 2001년 현재 장성지역에서도 1977년까지만 해도 장성가축시장, 사창가축시장, 사가가축시장 등이 운영되어 왔지만, 20여년이 지난 2001년에는 장성가축시장만 그런대로 유지되어 오고있는 형편이다. 2000년 장성축협의 보고에 따르면 조합원의 가축시장 알선현황으로 출장두수는 9,553두에 거래두수는 8,553두로 나타났다. (심재한)

QR CODE
  • 왼쪽 정보무늬 사진을 휴대전화에 인식시키면 자동으로 이 페이지로 연결됩니다.
  • 이 정보무늬는 『제2장 임업.축산 126번』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제2장 임업.축산 페이지 바로가기 주소(https://www.jangseong.go.kr/q/ezIyOTF8MTI2fHNob3d8fQ==&e=M&s=3), QRCODE
담당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