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안전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에서 명절 연휴 전기안전 5계명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2021-02-10 | 이고은조회수 : 340
한국전기안전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에서 명절 연휴 전기안전 5계명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1. 문어발 콘센트 금지
명절 음식 장만 시, 주방 가전제품을 한꺼번에 사용할 경우, 전선 과부하로 화재가 일어날 우려가 있습니다.
전원코드는 가급적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2. 안쓰는 플러그 뽑기
장기간 집을 비우거나, 귀향 시 사용하지 않는 전원코드(플러그)는 반드시 뽑아주세요.
'조금 있다가 해야지'하는 방심은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3. 전선 피복 확인하기
전선 피복이 손상되면 감전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명절인 만큼, 전선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있는지 반드시 먼저 확인하고 사용해주세요!
4. 전열기기 주의하기
이동용 전열기기는 발열온도 높아 종이, 헝겊 같은 가연성 물질과 접촉 할 경우 발화 우려가 큽니다.
전열기기 사용 시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주시고, 일정 거리를 두고 사용해주세요!
5. 누전차단기 매월 점검하기
누전차단기는 누전이나 합선, 과부하 등 안전과 직결된 위험을 감지하면 전기를 차단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안전을 책임지는 장치인 만큼, 감전, 화재 등 전기사고를 미리 대비해 월 1회 점검해주세요.
더 다양한 내용은 한국전기안전공사 홈페이지와 블로그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1. 문어발 콘센트 금지
명절 음식 장만 시, 주방 가전제품을 한꺼번에 사용할 경우, 전선 과부하로 화재가 일어날 우려가 있습니다.
전원코드는 가급적 동시에 연결하여 사용하지 않도록 합니다.
2. 안쓰는 플러그 뽑기
장기간 집을 비우거나, 귀향 시 사용하지 않는 전원코드(플러그)는 반드시 뽑아주세요.
'조금 있다가 해야지'하는 방심은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3. 전선 피복 확인하기
전선 피복이 손상되면 감전 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제품을 많이 사용하는 명절인 만큼, 전선 피복이 벗겨진 부분이 있는지 반드시 먼저 확인하고 사용해주세요!
4. 전열기기 주의하기
이동용 전열기기는 발열온도 높아 종이, 헝겊 같은 가연성 물질과 접촉 할 경우 발화 우려가 큽니다.
전열기기 사용 시 주변에 불이 붙기 쉬운 가연성 물질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해주시고, 일정 거리를 두고 사용해주세요!
5. 누전차단기 매월 점검하기
누전차단기는 누전이나 합선, 과부하 등 안전과 직결된 위험을 감지하면 전기를 차단하는 안전장치입니다.
안전을 책임지는 장치인 만큼, 감전, 화재 등 전기사고를 미리 대비해 월 1회 점검해주세요.
더 다양한 내용은 한국전기안전공사 홈페이지와 블로그를 통해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