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명 | 국가지정유산 및 등록유산 보수정비 지원(백양사 비자나무숲 유지관리) |
---|
회계연도 | 2025 | 회계 | 일반회계 |
---|---|---|---|
조직 | 문화및관광 | 기능 | 문화재 |
정책사업 | 문화유산 보존 및 전승 | 단위사업 | 지정유산 보존 |

사업기간 | 연례반복적사업 | 총사업비 | 연례반복적사업 |
---|---|---|---|
사업규모 | 모니터링, 대나무 제거 및 처리 등 | 지원형태 | 직접수행 |
사업위치 | 전라남도 장성군 북하면 약수리 산115-1번지 | 시행주체 | 장성군 |
사업목적 | 백양사 비자림의 건전도 유지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 실시 | ||
지원조건 | 국비 70%, 도비 12%, 군비18% | ||
사업내용 | 모니터링, 대나무 제거 및 처리 등 | ||
추진경위 | 백양사 비자나무림은 종합정비 학술용역보고서에 의하며 우리나라 최대의 비자나무 분포지역으로 조사되었으며 여타지방의 비자나무보다 특이한 점은 다른 비자나무의 씨눈이 한 개인 것과는 달리 씨눈이 두 개여서 양코배기 또는 두눈쟁이 비자나무로 불리기도 하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될 당시 백암산 일대에 5,000여주가 자생하고 있었으며 현재 8000여주가 자생하고 있습니다. | ||
추진근거 | 백양사 비자나무분포 북한지대는 백암산 지구가 비자나무가 생육하는 북방한계 지대로써 비자나무 열매는 구충제나 치질, 시용유, 고급가구 칠기름, 감기약으로 활용 하고 있으며 서양에는 없고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에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원산지는 중국이고 제주도를 비롯한 전라남도의 해남, 장흥, 고창 선운사 인근에 자생하고 있습니다. | ||
추진계획 | 매년 지속적으로 사업추진 |

(단위 : 천원)
총 예산
90,000
재원별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
국고보조금 | 예산액63,000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63,000 |
균특보조금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기금보조금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특별교부세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시·도 비 | 예산액10,800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10,800 |
시·군·구 비 | 예산액16,200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16,200 |
지방채 | 예산액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 |
계 | 예산액90,000 | 예산성립후 증감액 | 예산현액90,000 |

(단위 : 천원)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1월90,000 | 2월0 | 3월0 | 4월0 | 5월0 | 6월0 | 7월0 | 8월0 | 9월0 | 10월0 | 11월0 | 12월0 |

(단위 : 천원)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2020년 |
2021년25,038 |
2022년 |
2023년24,818 |
2024년24,68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