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목적
- 감염병 발생 취약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분무소독과 모기산란 장소인 정화조등에 대한 모기유충구제, 그리고 취약지에 대한 연막소독을 병행 실시하여 감염병 발생원인 위생해충 및 병원체를 사전 구제함으로써 감염병을 사전예방
취약지역 방역소독
- 대상 : 하수구, 쓰레기장, 웅덩이, 축사, 인구밀집지역 등
- 방역소독 실시기준
- 3월 : 월동 위생해충을 위한 해빙기 일제방역소독
- 5월 ~ 6월 : 2주 1회 이상
- 7월 ~ 9월 : 주 1회 이상
- 소독방법 : 분무소독실시
- 단, 숲이 우거진 지역, 하수구, 침수지역은 연막소독 실시
모기유충구제
- 모기의 유충을 구제함으로써 장기적인 모기밀도 감소 기대
- 대상 : 정화조, 하천이나 하수도, 웅덩이 등 물 고인 곳
- 소독방법 : 유충구제제 살포
- 서식지인 경우, 정기적으로 유충구제제를 살포하여 모기 발생과 번식을 차단
분무소독, 연막소독, 유충구제 장.단점 비교
구분 | 분무소독 | 연막소독 | 유충구제 |
---|---|---|---|
장점 |
|
|
|
단점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