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명소
조회수 : 2872
제목 제24회 송흠, 86세의 나이에도 나라를 걱정하는 상소를 하다
작성자 관리자
내용
제24회 송흠, 86세의 나이에도 나라를 걱정하는 상소를 하다


1540년대 초반에 80세가 넘은 송흠은 관수정에서 말년을 유유자적하게 보내고 있었다. 전라감사 송인수가 기영정 정자를 지어서 잔치도 가끔 베풀어 주기도 하여 그야말로 자연 속에서 풍류를 즐기며 지냈다.

이런 일상 속에서도 그는 나라가 돌아가는 것에 대하여 무관심하지 않았다. 1544년 4월에 경남 통영의 사량진에서 왜변이 일어났다. 그리고 중국의 해적들도 당선 唐船을 앞세워 수시로 해안을 침범하여 도적질을 일삼았다.

나라의 국방이 걱정이었다. 송흠은 86세의 나이에 중종임금에게 상소를 올린다. 한 때 송흠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고, 보성군수 · 장흥부사 등 포구가 있는 지역의 수장을 하기도 하여 수군 방위 대책을 건의한 것이다.

그러면 먼저 상소문 전문을 읽어 보자. 이 글은 중종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중종 39년(1544년) 9월 8일

중국과 일본을 경계하도록 청하는 판중추부사 송흠의 상소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송흠(宋欽)의 상소(上疏)를 정원에 내리고 이르기를,
“이 소를 보니, 그 멀리 염려한 것이 지극히 마땅하다. 우리나라 사람은 늘 적을 깔보는 마음이 있다. 서북이나 남방에 변방의 말썽이 있으면 아랫사람의 생각이 다들 반드시 이기리라 여기고, 비변사와 변장(邊將)이 된 자의 경우도 다들 말을 쉽게 하여 경계하고 두려워하는 뜻이 없다. 갑작스런 기미를 살피고 늘 용병(用兵)의 어려움을 생각하는 자가 있는지 내가 모르겠다. 바야흐로 왜노를 거절하는 때이고 서방에도 성식(聲息)이 있으니, 멀리 염려하는 자가 있으면 미리 조치해야 할 때이다. 당선(唐船)·왜선(倭船)이 와서 변경을 침범하는 일이 있거든 바다 가운데에서 만나더라도 도적의 배로 여겨 잡으라고 각도에 하유하라.”
하였다.

그 소는 다음과 같다.

“ 신 臣은 나이가 86세이므로 정신과 기력이 날로 쇠약해져서 세상에 뜻이 없어진 지 오래 되었습니다. 그러나 오히려 해바라기의 정성이 남아있으므로, 차마 잠자코 있을 수 없습니다.

생각하옵건대, 나라를 다스리는 도리는 본디 한 가지뿐이 아니라 그 큰 요체는 안으로 다스리고 밖으로는 적을 물리치는 것에 지나지 않을 따름입니다. 안으로 다스리는 도리는 조정에서 본디 이미 행하였으나, 밖으로 물리치는 계책에는 혹 죄다 거행하지 못한 것이 있으니, 신이 어리석은 생각을 아뢰겠습니다.

국가가 태평한 세월이 오래이므로 군정(軍政)이 해이하여, 변장이 된 자는 안일에 젖어 헛된 이름만이 있을 뿐, 멀리 생각하는 것이 없고 방어하는 일에 대하여 태연하게 뜻을 기울이지 않으니, 혹 뜻밖의 경보가 있으면 어떻게 막겠습니까.

신은 생각이 여기에 미칠 때마다 크게 탄식하지 않은 적이 없습니다. 이제 듣건대, 변장이 여러 번 중국 배한테 욕보았다 하니, 과연 신이 생각하던 바와 같습니다. 신이 들은 바와 평소에 생각한 바를 아뢰겠습니다.

저 중국 배라는 것은 표류하여 길을 잃었다고는 하나, 반드시 다들 도적질에 마음이 있는 자일 것입니다. 도적질에 마음이 없다면 어찌하여 화포(火砲)를 많이 갖추어 걸핏하면 사람을 상해하겠으며, 참으로 표류한 사람이라면 어찌하여 불쌍히 여겨주기를 바라는 뜻이 없고 두렵게 하여 요동하는 말을 하겠습니다까.

또 듣건대 그 배는 단단하기가 여느 것과 달라서 사면에 다 널빤지로 집을 만들고 또 가운데가 넓어서 1백여 인을 포용할 만하며 그 밖의 기계(器械 : 병기) 도 정비되지 않은 것이 하나도 없으므로, 가는 데마다 대적할 자가 없고 싸우면 반드시 이긴다 합니다.

우리나라는 이것과 달라서, 연변(沿邊)의 요해지(要害地)에 전함을 갖춘 것이 별로 없고, 공사(公私)의 배가 많이 있기는 하나 거의 다 좁고 사면이 다 허술하여 가려 막은 것이 없으며, 또 화포는 오래되고 화약의 힘은 효력이 없으므로, 저 중국 사람의 화포에 비하면 참으로 아이들 장난입니다. 그 밖의 기계도 다 잔폐(殘弊)하여 연마되지 않았으니, 적을 만나 반드시 지는 것은 형세가 그렇게 만드는 것입니다.

옛사람이 이르기를 ‘기계가 엄밀하게 정비되면 사기(士氣)가 정명(精明)하다.’ 하였거니와, 우리나라의 기계가 이러하다면, 어떻게 사기를 떨칠 수 있겠습니까. 기계 가운데에서도 전함은 더욱이 중요한데, 탈 만한 전함이 없다면 양장(良將)· 정졸(精卒)이 있더라도 어떻게 적을 막겠습니까.

지금의 계책으로는, 바닷가의 여러 고을에 그 조잔(凋殘)·풍성(豐盛)을 짐작하여 전함의 수를 나누어 정하여 감독해서 만들게 하되, 배를 만들 때에는 반드시 널빤지로 장벽을 만들어 모두 당인 唐人의 배와 같이 해야 합니다. 전함이 갖추어지고 나면, 군졸이 다 믿는 것이 있어서 편안하게 여길 것입니다.

또 화포·궁전(弓箭)·창검(槍劍) 따위 물건도 해마다 단련하고 달마다 단련한다면, 적선(敵船)을 만나더라도 우리가 어찌하여 저들을 두려워하겠습니까. 이른바 유비무환(有備無患)이라는 것이 이것입니다.

그러나 기계만 있고 장수는 마땅한 사람을 얻지 못한다면, 또한 어떻게 막을 수 있겠습니까. 그러므로 사람을 얻는 것이 첫째이고 기계는 다음이니, 사람을 얻으면 기계는 절로 정비될 것이나, 사람을 얻지 못한다면 기계가 있더라도 쓸 데 없는 물건이 될 것입니다.

신은 이제부터 병사(兵使)·수사(水使)와 연변의 수령(守令)·만호(萬戶) 등을 다 그 재덕(才德)이 장수가 될 만 한 자를 가려서 맡기기를 바랍니다. 그렇게 하면 은혜와 위엄이 아울러 행해지므로 군졸이 명을 따라서 모두가 한 사람이 백 사람을 당하게 될 것입니다.

사람을 가리는 방도를 신 臣이 또한 생각하였습니다. 대신과 여러 대부(大夫)가 각각 아는 사람을 천거하게 하여, 마땅한 사람을 천거하면 상주고, 마땅한 사람이 못되면 벌주되, 이를 법령으로 만들어 이 법령을 사시의 질서가 틀림없이 시행한다면, 잘못 천거하는 폐단이 없을 것입니다. 신이 사람을 얻는 것이 첫째라 한 까닭은 이 때문입니다.

그러나 각진(各鎭)· 각포(各浦)의 군졸이 정예하지 않은 것은 그 유래가 오래되었습니다. 배를 타면 두려워서 활을 잡지 못하는 자가 10명 중에 8∼9명이고, 이따금 잘 쏘는 자가 있어도 가난하여 궁시(弓矢)를 갖추지 못하여 빈손으로 번(番)을 서는 자가 있고, 진장(鎭將)의 뜻을 맞추어 짐짓 번 들지 않고서 그 값을 바치는 자도 있습니다. 군졸이 정예하지 않은 것이 온통 이렇게까지 되었습니다.

그러므로 요즈음에 변장이 된 자는 적선(敵船)이 왔다는 말을 갑자기 들으면 계책이 나올 수 없고, 한량(閑良)의 무리를 죄다 찾아내어 조방(助防)하게 하면 그 무리도 군려(軍旅)에 익숙하지 않고 배를 부리는 데에도 익숙하지 않아, 변장이 적을 만났을 때에도 다 두려워하여 팔을 걷어붙이고 도와 쏘는 자가 없으니, 군졸이 정예하지 않은 것을 여기에서 알 만합니다.

그러므로 장수를 가리는 것이 첫째이고 군졸을 뽑는 것은 또 그 다음인데 군졸을 뽑으려면 장수된 자가 마땅히 군사들이 몸이 씩씩한지 활을 잘 쏘는지를 보아 선택하여 서로 혼동되게 하지 않아야 할 것입니다. 다만 잘 쏘는 자는 군사와 한량뿐이 아니라 공천(公賤)·사천(私賤)과 한잡(閑雜)한 사람 가운데에도 많이 있으니, 지방의 수령이 사정을 쓰지 않고 정밀하게 가려서 치부하여 잡역(雜役)을 면하게 하면, 갑작스러운 때의 쓰임에 갖출 수 있을 것입니다.

신이 아뢴 것은 오로지 당선 唐船을 대비하기 위한 것 때문에 발론한 것이 아니라, 변방의 일에 대비하는 것을 널리 논한 것인데, 변방의 일에 대비하는 계책은 표류한 배에 쓸 것이 아니라고 한다면, 나라를 위하여 멀리 생각하는 것이 아닐 것입니다.

신에게는 또 한 가지 염려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변장은 적선 하나를 만나도 낭패하여 감히 대항하지 못하니, 만일 왜적이 자기 나라의 배를 몽땅 거느리고 길을 나누어 침략해 온다면 또한 장차 어떻게 감당해 내겠습니까. 신이 듣건대, 나라에서 대마도(對馬島)의 왜인을 접대하지 않고 화친을 아주 끊었다 하니, 저 왜인에게 원망이 없지 않을 것이므로 이런 염려를 합니다.

행여 신의 어리석은 생각을 늙은 자의 말이라 여기지 않고 시험하신다면, 밖으로 적을 물리치는 방도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없지는 않을 것입니다.”

이 상소문을 읽어 보니, 86세의 나이 즉 자기 몸도 제대로 가눌 수 없는 나이에 나라의 국방을 위하여 자기의 경륜을 이야기하는 지극 정성이 너무나 감동적이다. 한편으로는 중종 임금이 그 상소를 일일이 읽어보고 관련부처에 지시하는 자상함 또한 울림을 준다.

지금이라면 어떨까? 필자도 이제 퇴직 공무원이지만, 나이가 70이 넘은 퇴직 공무원이 이런 유형의 정책 건의를 할 수 있을 지, 그리고 대통령이 이런 건의를 읽고 관련부서에 검토하라고 지시 할지에 의구심이 생긴다. 어쩌면 500여 년 전의 조선은 임금과 신하 간에 소통이 잘 되는 나라였으리라.
담당자